현장 상황정보 신속하게 공유 가능
정부가 4억1000만원을 들여 구축한 화학사고 대응 시스템이 이달부터 운영된다.
행정안전부와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사고 현장대응 정보공유체계 개선사업’을 통해 구축한 시스템을 이달부터 사고 현장에서 활용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해 인천 소재 화학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와 같이 급박하게 전개되는 현장 상황정보를 대응 기관에 신속하게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화학물질안전원(1곳)과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7곳), 화학안전관리단(7곳) 등 총 15곳의 출동차량에 영상카메라가 설치된다. 현장 도착 시 관련 영상을 화학물질안전원 상황실과 행안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 송출하고, 사고 현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취지다.
또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정보와 취급시설 개요, 전체 배치도·공정도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화학물질안전원 상황관리시스템과 연계해 사고대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도 사고현장 출동요원이 현장에서 태블릿PC와 위성항법장치(GPS), 전자지도를 이용해 현장업무를 지원받을 수 있는 환경도 구축했다.
배진환 행안부 재난협력실장은 “시스템을 통한 관계기관 간 원활한 협력이 화학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