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사고로 방사선에 노출됐을 때 소지하고 있던 전자기기 부품검사로 피폭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방호안전부 김장렬 박사팀이 ‘방사선 방호용 선량 측정 및 평가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혈액 검사 없이 갖고 있던 휴대전화나 USB, 노트북 등의 부품 검사를 통해 방사선 피폭 여부와 누적 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자기기 부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저항소자, 발진소자, IC칩 등에 포함된 세라믹 물질이 방사선에 노출되면 광자극발광(OSL) 특성을 띠는 것에 착안해 이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의 최대 장점은 검사결과가 몇 시간 만에 도출된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의 ‘혈액 내 염색체 변이 해석법’보다 측정 방법이 간편한 것은 물론 10mSv(밀리시버트) 정도의 낮은 방사선량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도 눈에 띄는 특징으로 꼽힌다.
다만 피폭 검사를 위해 세라믹 물질을 분리해 내야 하기 때문에 기기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김장렬 박사는 “이번 기술 개발로 방사선 업체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와 원전 주변 주민의 피폭 방사선량 평가가 기존보다 수월해 질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방호안전부 김장렬 박사팀이 ‘방사선 방호용 선량 측정 및 평가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혈액 검사 없이 갖고 있던 휴대전화나 USB, 노트북 등의 부품 검사를 통해 방사선 피폭 여부와 누적 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자기기 부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저항소자, 발진소자, IC칩 등에 포함된 세라믹 물질이 방사선에 노출되면 광자극발광(OSL) 특성을 띠는 것에 착안해 이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의 최대 장점은 검사결과가 몇 시간 만에 도출된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의 ‘혈액 내 염색체 변이 해석법’보다 측정 방법이 간편한 것은 물론 10mSv(밀리시버트) 정도의 낮은 방사선량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도 눈에 띄는 특징으로 꼽힌다.
다만 피폭 검사를 위해 세라믹 물질을 분리해 내야 하기 때문에 기기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김장렬 박사는 “이번 기술 개발로 방사선 업체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와 원전 주변 주민의 피폭 방사선량 평가가 기존보다 수월해 질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