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고속도로 유지보수 공사 현장에서 작업 중 사망한 근로자가 84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는 오후 1~3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고속도로 유지보수 공사 현장에서는 총 258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84명이 사망했다.
연도별로는 △2007년 10명(사고 44건) △2008년 17명(55건) △2009년 18명(57건) △2010년 21명(59건) △2011년 18명(43건) 등으로 집계됐다.
노선별는 경부선이 4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호남선(36건), 영동선(33건) 순이었다. 사고 발생 시간은 △오후 1~3시 70건 △오전 10시~낮 12시 41건 △오후 4~6시 31건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점심시간 직후 졸음운전 등의 위험 요소가 사고와 직결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도로공사의 한 관계자는 “고속도로 유지보수 현장에서는 조그만 안전사고로도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라며 “시간과 날씨 등을 고려해 현장의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고속도로 유지보수 공사 현장에서는 총 258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84명이 사망했다.
연도별로는 △2007년 10명(사고 44건) △2008년 17명(55건) △2009년 18명(57건) △2010년 21명(59건) △2011년 18명(43건) 등으로 집계됐다.
노선별는 경부선이 4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호남선(36건), 영동선(33건) 순이었다. 사고 발생 시간은 △오후 1~3시 70건 △오전 10시~낮 12시 41건 △오후 4~6시 31건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점심시간 직후 졸음운전 등의 위험 요소가 사고와 직결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도로공사의 한 관계자는 “고속도로 유지보수 현장에서는 조그만 안전사고로도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라며 “시간과 날씨 등을 고려해 현장의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