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퇴직지원제도 마련 시급

10명 중 7명 별다른 계획 없어
생산직 근로자들은 퇴직 이후 경제활동을 이어가길 희망하고 있으나 환경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 10일 울산 태화호텔에서 열린 ‘2012년 제4회 울산고용포럼’에서 드러났다. 이번 포럼은 ‘생산직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이후 취업지원을 위한 노사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현대자동차 노조와 울산양산경영자총협회 등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박진철 현대차 노조 후생복지실장은 “한국고용정보원의 ‘전국 생산직 종사자의 퇴직준비 정도’ 전국조사에 따르면 26.4%가 ‘아무런 계획도 없음’에 42.4%가 ‘막연한 생각 뿐’이라고 답했다”라며 “대략적 계획(24.2%)과 구체적 계획(6.9%)이 있다는 응답보다 배가 많은 것”이라고 밝혔다.
대기업 생산직 근로자의 대표격인 현대차 근로자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는 “현대차 조합원들을 상대로 한 ‘퇴직 예정자 욕구조사’ 결과에서도 무계획(19.2%)과 막연한 생각 뿐(48.4%)이라는 답변의 응답률이 대략적 계획(27.3%)과 구체적 계획(5.1%)보다 높았다”고 말했다.
문제는 73.8%에 달하는 근로자가 퇴직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계속하길 원한다는데 있다. 하지만 장시간 근로에 따른 가족갈등, 자기관리·개인능력(기술) 향상 소홀, 고임금에 따른 소비지향적인 생활 등은 경제활동을 이어갈 수 없는 걸림돌로 지적됐다. 특히 대부분의 생산직 근로자들은 개인별 삶의 목표가 뚜렷하지 않다는 특성도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포럼 참석자들은 생산직 근로자들을 위한 맞춤형 퇴직지원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김재인 한국노총 울산본부 정책실장은 “생산직 베이비붐 세대 근로자들이 퇴직 후에도 일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라며 “특히 중소기업 생산직의 경우 회사 차원에서 특별한 대안을 제시하기 힘든 만큼 지자체 등이 관심을 가지고 앞장서서 ‘퇴직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