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정부중앙청사 4개 출입구에 자동인식출입시스템 설치

지난 14일 김모(61)씨가 위조된 출입증을 이용해 정부중앙청사 18층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보기획과 사무실에 들어가 불을 지른 후 유리창 밖으로 투신해 숨지는 사건이 일어났다.
국가 관리 건물에 대한 방호체계가 위조 출입증으로 한 번에 뚫린 것이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정부청사관리소는 중앙·과천·대전·세종청사에 대한 방호와 경비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청사관리소는 먼저 중앙청사 출입시스템 보안을 철저히 했다. 공무원들과 외부인원 대다수가 출입하는 중앙청사 후문에는 평소 보다 2배 정도 많은 의경들이 투입됐다. 청사 내부를 지키는 방호원들의 수도 더욱 많아졌다.
그리고 사건 당일까지만 해도 출입증 소지 유무 정도만 확인하고는 청사에 출입할 수 있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풍경이 펼쳐졌다. 후문 출입문에서 1차 출입증 검사를 한 뒤 ‘X-ray’검색대를 거쳐야만 1층 로비에 들어설 수 있었다. 평소 방문증 소지자만 ‘X-ray’ 검색대를 통과했던 것과 달리 상시 출입증 소지자도 이상이 없어야만 통과된다. 보안검색대를 철저히 운영해 위험물 운반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조치다.
공무원증의 패용도 의무화한다. 공무원증과 출입증을 청사 출입 시는 물론 청사 내부 근무 때에도 반드시 패용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입주부처에는 출입 관리 강화에 대한 협조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청사경비대와 방호원을 대상으로는 출입 관리 교육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앞으로는 모든 출입자가 전자적으로 신분을 확인한 후에야 정부청사에 들어갈 수 있다.
행정안전부 서필언 제1차관은 지난 15일 정부중앙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말까지 정부중앙청사의 4개 출입구에 모두 ‘자동인식 출입시스템’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또 과천, 대전, 세종청사의 전 출입문에도 자동인식 출입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설치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경찰, 취약시간대 경계·경비 강화 예고
이와 함께 경찰도 정부중앙청사의 보안 강화 대책 마련에 나섰다.
김기용 경찰청장은 지난 15일 오전 서울 미근동 경찰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경찰은 정부청사의 경비 관리를 맡은 행정안전부와 함께 출입자 통제와 검색 강화 등의 추가 보안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 청장은 서울경찰청에 이번 사건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해 대책을 마련하라는 지시를 했다고 덧붙였다.
김 청장은 “경찰이 정부청사의 외곽 통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방화·투신 사건의 책임 소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휴일 등 취약시간 대 공공기관 출입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앞으로 효율적으로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