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1,300명이 넘는 남성이 육아로 인해 휴직을 하는 등 최근 몇 년 동안 남성육아휴직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9월까지 1,351명의 남성이 육아휴직을 사용, 전년 같은 기간(1,031명)과 비교해 31%나 늘었다고 17일 밝혔다.
연도별 남성육아휴직자를 살펴보면 2008년에는 355명에 불과했지만 2009년 502명, 2010년 819명, 2011년 1,402명으로 매년 큰 폭으로 늘어났다.
여성 육아휴직자와 비교하면 2008~2011년 여성 육아휴직자가 연평균 25.4% 증가한데 비해 남성 육아휴직자의 경우 연평균 58.1%씩 크게 늘었다. 전체 육아휴직자 중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8년 1.2% △2009년 1.4% △2010년 2% △2011년 2.4% △2012년 1~9월 2.8%로 점차 증가했다.
남성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이유는 ‘어린 자녀를 다른 사람에게 맡길 수 없어서’,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려고’, ‘배우자의 육아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등으로 다양했다.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 “남성 육아휴직자의 빠른 증가는 일과 가정 양립에 대한 인식이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까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아직까지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율이 2.8% 수준으로 매우 낮은 상태이므로 남성이 육아휴직을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육아휴직은 만 6세 이하의 취학 전 자녀를 둔 근로자가 1년간 사용할 수 있고, 휴직 기간 중에는 고용센터에서 월 통상임금의 40%(상한 100만원, 하한 50만원)에 해당하는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