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농도 수시 측정 · 환기시설 가동시간 증대
서울시는 시내 지하철역 37곳을 폐암 유발 물질인 라돈 농도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지하철 운영기관이 특별관리구역을 지정해 라돈 농도 측정과 환기를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라돈 농도 저감대책을 마련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라돈 농도가 기준치보다 낮아 위험하지는 않지만 승객의 불안감을 풀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참고로, 라돈은 주로 화강암에 들어 있는 라듐이 핵분열할 때 발생하는 무색·무취의 방사능 가스로 폐암 등을 일으킨다.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된 역은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17곳, 5∼8호선을 운영하는 도시철도공사 20곳이다. 이들 역은 라돈이 주로 나오는 화강암 지대를 통과하는 역이나 지하 깊숙이 있어 공기보다 무거운 라돈이 가라앉기 쉬운 곳이다.
노선별로 보면 2호선의 경우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을지로4가, 잠실, 이대, 아현, 종합운동장 등 6곳이다. 3호선은 종로3가, 충무로, 경복궁, 안국, 독립문, 교대 등 6곳이다. 4호선은 충무로, 미아삼거리, 남태령, 회현, 삼각지 등 5곳이다. 5호선의 경우 충정로, 서대문, 광화문, 종로3가, 을지로4가, 신금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청구, 행당, 왕십리, 답십리 등 11곳이다. 6호선은 고려대, 월곡, 역촌 등 3곳, 7호선은 수락산, 마들, 노원, 중계, 하계, 공릉 등 6곳이 지정됐다.
지난달 5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수도권 지하철 전동차에서의 라돈 농도 분포 조사’ 논문에 따르면 스크린도어(PSD) 설치 후 서울 지하철 2∼8호선의 전동차 내 라돈 농도는 평균 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37개 역에서 라돈 농도를 연 2회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측정할 계획이다.
라돈 확산 경로도 집중 차단할 예정이다. 배수로 및 집수정에 맨홀 덮개를 설치하고 송풍기로 집수정 공기를 배출해 라돈 농도를 낮출 계획이다. 역사 청소를 할 때 지하수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는 라돈이 주로 터널 구간의 암반에서 지하수에 녹아 배출되면서 공기 중으로 퍼진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하루 평균 3∼13시간에 그쳤던 터널 안 환기시설의 가동시간도 최소 15시간 이상으로 늘리기로 해 환기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지하철 역사를 비롯해 전동차 안의 라돈 농도는 기준치 이내로 인체에는 무해한 수준이지만 시민들의 불안을 고려해 라돈 특별관리구역을 지정하고 관련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시는 전동차 안의 공기질 관리도 강화할 방침이다. 기존엔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등 2개 항목만 측정하던 것을 앞으로는 라돈까지 측정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