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광광산에서 기준치보다 84배 높은 비소 검출
전국 111개 폐광에서 발암물질이 포함된 지하수가 누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식경제부와 한국광해관리공단이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정우택 의원(새누리·청주 상당)에게 제출한 ‘최근 4년간 전국 폐광산 오염현황’ 자료를 보면 전국 147개 폐광에서 오염된 지하수가 누출되고, 이 가운데 111곳에선 카드뮴(Cd)·비소(As)·납(Pb) 등 발암물질이 섞인 오염수가 흘러나오고 있다.
광해관리공단이 지난해 실시한 수질조사에서 1급 발암물질인 비소의 경우 충남 청양군 삼광광산에서 기준치(0.05㎎/L)의 84배나 되는 4.22㎎/가 검출됐고 충북 영동군 황간면 가리광산(0.20㎎/L), 제천시 수산면 수리광산(0.07㎎/L) 등에서도 적지 않은 양이 검출됐다.
‘이따이이따이병’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인 카드뮴은 청양군 삼광광산과 충북 진천군 유창광산에서 기준치(0.02㎎/L)의 11배인 0.22㎎/L가 나왔다. 납은 진천군 유창광산에서 기준치(0.1㎎/L)를 약간 초과한 0.15㎎/L이 검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정 의원은 “중금속인 망간(Mn)·철(Fe)·크롬(Cr)·아연(Zn)·구리(Cu)·알루미늄(Al)도 상당수 폐광에서 적게는 기준치의 2배, 많게는 15배까지 검출됐다”며 “국민건강을 해치고 환경도 오염시키는 폐광을 적절히, 빠른 시간 안에 처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