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성 문제가 또 다시 불거졌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한 달 간 어린이놀이시설을 대상으로 실태점검을 실시했던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서울시가 공개한 어린이놀이시설 검사현황에 따르면, 서울시내 놀이시설 7,654개소 중 3,101개소(40.5%)가 아직까지도 법정설치검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 시행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절반에 가까운 놀이시설이 안전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다.
또 전체 놀이시설의 69%에 해당하는 주택단지 내 놀이시설의 경우도 5,280개소 중 2,350개소(44.5%)가 미검사 상태로, 검사율이 평균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어린이놀이시설의 관리주체는 보험가입, 안전교육을 의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시내 어린이놀이시설 중 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놀이시설은 3,419개소(44.7%)에 달하고, 안전교육 역시 20.1%(1,542개소)가 이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결과가 이와 같이 나타나자 관리주체가 ‘안전점검’, ‘안전교육’, ‘보험가입’, ‘중대사고 보고’ 등 4대 안전관리의무를 이행하도록 각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서울시가 공개한 어린이놀이시설 검사현황에 따르면, 서울시내 놀이시설 7,654개소 중 3,101개소(40.5%)가 아직까지도 법정설치검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 시행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절반에 가까운 놀이시설이 안전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다.
또 전체 놀이시설의 69%에 해당하는 주택단지 내 놀이시설의 경우도 5,280개소 중 2,350개소(44.5%)가 미검사 상태로, 검사율이 평균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어린이놀이시설의 관리주체는 보험가입, 안전교육을 의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시내 어린이놀이시설 중 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놀이시설은 3,419개소(44.7%)에 달하고, 안전교육 역시 20.1%(1,542개소)가 이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결과가 이와 같이 나타나자 관리주체가 ‘안전점검’, ‘안전교육’, ‘보험가입’, ‘중대사고 보고’ 등 4대 안전관리의무를 이행하도록 각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