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계획보다는 대폭 축소
내년에 5개소의 근로자건강센터가 신규로 설치될 것으로 전망된다. 근로자건강센터는 직업환경의학전문의, 물리치료사, 간호사, 임상심리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인간공학기사, 운동지도사 등 안전보건 전문가들이 상주하여,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업병이나 직무스트레스 관련 상담 및 간단한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안전보건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소규모사업장 근로자의 건강관리서비스를 확대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근로자건강센터는 지난해 4월 인천에 처음 개소한데 이어, 경기(시흥), 광주, 대구, 창원 등 전국적으로 5개소가 설치된 상태다.
고용노동부는 이 근로자 건강센터를 내년 한 해 동안 5개소를 신규 설치키로 했다. 그에 대한 예산을 67억여원 배정했다. 아울러 고용부는 2015년에도 5개소를 추가 설치한 이후 2015년에는 8개소를 설치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하지만 고용부가 기존에 내년 한 해 동안 20개의 센터를 구축하고 2017년까지 총 48개의 근로자건강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는 점에서 보면, 그 계획이 대폭 축소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기획재정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축소됐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을 위해 건강센터를 확대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각계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이에 따른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현장의 한 관계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근로자들의 건강과 이력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시급하다”며 “이에 대해서는 근로자건강센터를 전국에 확대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