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조선업체들이 중국에서 불법으로 수입된 작업용 장갑이나 용접 앞가리개 등을 사용해 온 사실이 드러나 물의를 빚고 있다.
이들 조선소는 소모성 자재 구매 대행회사로부터 H물산과 G테크 등을 통해 수입된 용접용 가죽장갑과 앞가리개 등 안전용품을 공급받았다. 그러나 수입업체들이 국산에 비해 가격이 싼 중국산 안전용품을 수입해 원산지표시를 뜯어내고 납품하는가 하면 세관에 수입물량을 적게 신고해 거액의 관세를 포탈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실이 마산세관에 적발돼 이들 수입업체들은 대외무역법 및 관세법 위반 등의 혐의로 벌금과 세금 중과처분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들 수입업체들은 4~5년 전부터 수입장갑 등의 원산지 표시를 제거하고 납품한 것으로 드러나, 중국산 안전용품 불법 수입·납품이 구매 대행사와 조선소 등의 묵인 아래 공공연하게 이뤄졌을 것이라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관도 H물산과 G테크 등을 원산지표시 위반 및 관세 포탈 혐의로 창원지검에 고발하고도 위반 사실을 공개하지 않는 등 여러 의혹을 사고 있다.
이들 조선소는 소모성 자재 구매 대행회사로부터 H물산과 G테크 등을 통해 수입된 용접용 가죽장갑과 앞가리개 등 안전용품을 공급받았다. 그러나 수입업체들이 국산에 비해 가격이 싼 중국산 안전용품을 수입해 원산지표시를 뜯어내고 납품하는가 하면 세관에 수입물량을 적게 신고해 거액의 관세를 포탈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실이 마산세관에 적발돼 이들 수입업체들은 대외무역법 및 관세법 위반 등의 혐의로 벌금과 세금 중과처분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들 수입업체들은 4~5년 전부터 수입장갑 등의 원산지 표시를 제거하고 납품한 것으로 드러나, 중국산 안전용품 불법 수입·납품이 구매 대행사와 조선소 등의 묵인 아래 공공연하게 이뤄졌을 것이라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관도 H물산과 G테크 등을 원산지표시 위반 및 관세 포탈 혐의로 창원지검에 고발하고도 위반 사실을 공개하지 않는 등 여러 의혹을 사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