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추위에 난방시설 사용 급증, 화재예방활동 강화 필요
방재청, 화재취약시설 집중 관리·감시 예고 올해 11월까지 화재로 인한 사상자가 전년과 비교해 1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방재청은 이같은 내용의 11월 화재발생현황 분석 결과를 지난 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1월말 기준 화재발생건수는 3만9,287건으로 전년 대비 1.4%(559건) 감소했지만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는 크게 늘었다.
인명피해는 1,940명(사망 215명, 부상 1,725명)으로 17%(282명) 증가했고 재산피해는 2,545억1500만원으로 11.2%(256억5,100만원)나 늘었다. 일일평균 117건의 화재가 발생해 5.6명의 인명피해와 7억6,200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시간대별로 화재발생건수를 살펴보면 ‘11시~17시’ 사이가 35.7%(1만4,023건)로, 가장 많이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취약시간대로 분석됐다.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0시~4시 사이(28.8%, 62명)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어 잠들기 전 전기나 가스 등 화재위험요인을 각별히 살필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발생원인으로는 과반에 가까운 47%(1만8,164건)가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다. 문어발식 전기코드사용 등 전기적 요인이 23.6%(9,290건), 생활용품 과열 또는 과부하 등 기계적 요인이 9.7%(3,798건) 순이었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요인을 세부적으로 보면 담뱃불이 34% (6392건)로 가장 많았고 음식물 조리중 14%(2,569건), 쓰레기 소각 12%(2,264건) 순으로 나타났다.
소방방재청, 겨울철 화재예방에 총력
소방방재청은 올 겨울이 예년에 비해 추워 난방시설 사용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때문에 방재청은 한층 강화된 겨울철 화재예방대책을 펼칠 계획이다.
우선 방재청은 인명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주택이나 아파트 등 주거용 건물에서 화재로 인한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 저소득·소외계층 등 취약가구에 단독경보형감지기 및 소화기를 우선 보급하기로 했다.
또 화재취약시설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감시를 위해 전국 194개 소방관서에 현장 총출동령을 발령하는 한편 유동인구가 많아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대규모 유통시설, 다중이용시설, 전통재래시장, 요양원 등 대형화재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다.
소방방재청의 한 관계자는 “화재 등 재난사고 없는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화재취약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했다”면서 “일반 국민과 산업현장의 경영진 및 근로자들도 화재예방을 위해 철저한 점검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