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 위험 크게 줄어들 전망

정부가 화재, 감전 등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공중선에 대한 정비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제1차 공중선 정비 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서울, 부산 등 50만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20개 대도시의 공중선에 대한 정비에 나서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방통위에 따르면 이 사업은 도로관리청이 해당지역마다 설치될 예정인 ‘지역별 공중선 정비 추진협의회’의 의장을 맡아 정부기관(방송통신위원회, 지식경제부), 관련 사업자와 함께 공중선 실태를 조사·정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올해 말까지 20개 도시의 지자체별로 ‘공중선 정비 추진협의회’의 구성을 마무리하고, 내년 1∼2월에는 공중선 정비와 관련된 기관 합동으로 당해 지역별의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후 3월초에는 제2차 공중선 정비 정책협의회를 개최해 ‘2013년도 공중선 정비 계획’을 확정짓고 곧바로 정비에 나설 방침이다.
방통위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20개 대도시의 공중선 가운데 △복잡하게 얽혀 있거나 여러 방향으로 설치돼 있는 인입선(배전선로에서 갈라져서 직접 수요장소의 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 △필요 이상으로 긴 전선 및 동일 전주에 과다하게 설치된 통신설비 △지상고 시설기준에 미달되는 통신선 △서비스 이용계약이 해지된 폐선·사선 △동일 전주에서 2개 이상 방향으로 도로를 횡단하는 통신선 △뭉쳐있거나 늘어진 통신선 △사업자 식별표시가 없는 통신선 △배선설비와 안전 이격거리 미달 통신설비 △지중화 필요성이 인정되는 공중선 등에 대해 정비가 이뤄진다.
김대희 방통위 상임위원은 “일반 시민들이 공중선은 안전한 기반시설이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정비작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