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스포츠의 대표주자인 스키와 스노우보드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스키장 안전사고 또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스키장 안전사고 1,058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1~2012년 시즌에 접수된 사고는 총 491건으로 2010~2011년 시즌(281건)보다 74.7% 증가했다.
사고 발생 원인으로는 슬로프에서 미끄러져 넘어진 경우가 78.6%로 가장 많았고, 스키를 타다가 서로 부딪치거나 안전 펜스 등 시설물과 충돌하는 경우가 15.4%로 뒤를 이었다. 위해 내용 중에서는 ‘골절’(39.9%)이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의 한 관계자는 “안전을 위해 무엇보다 자신의 실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슬로프에 오르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통해 허리와 목의 근육, 각 관절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서는 “겨울 레포츠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으로 근력과 순발력을 길러둬야 하고, 특히 허리와 관절 주위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스키장 안전사고 1,058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1~2012년 시즌에 접수된 사고는 총 491건으로 2010~2011년 시즌(281건)보다 74.7% 증가했다.
사고 발생 원인으로는 슬로프에서 미끄러져 넘어진 경우가 78.6%로 가장 많았고, 스키를 타다가 서로 부딪치거나 안전 펜스 등 시설물과 충돌하는 경우가 15.4%로 뒤를 이었다. 위해 내용 중에서는 ‘골절’(39.9%)이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의 한 관계자는 “안전을 위해 무엇보다 자신의 실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슬로프에 오르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통해 허리와 목의 근육, 각 관절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서는 “겨울 레포츠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으로 근력과 순발력을 길러둬야 하고, 특히 허리와 관절 주위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