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기업들과의 적극적인 업무협약을 통해 화학물질 배출저감에 나서기로 했다.
환경부는 화학물질이 환경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업과 자발적 협약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를 통해 화학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이뤄지면서 각종 안전사고 예방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협약체결은 2005년부터 진행해 온 배출저감 프로그램인 ‘30/50 프로그램’(200개 기업 참여) 보다 선진화된 SMART 프로그램을 도입해 진행된다.
30/50 프로그램은 자발적 협약 체결 후 ‘3년 내에 30%, 5년 내에 50%’ 일률적 저감을 목표로 기업이 저감 대상물질을 선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를 대폭 개선한 것이 바로 SMART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의 기업중심에서 벗어나 유해화학물질 다량 배출지역, 지역별 배출물질, 지역 내 기업별 배출저감 능력 등을 고려해 저감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현재 협약에는 1급 발암물질인 ‘벤젠’과 ‘1,3-부타디엔’의 배출량 감소를 위해 울산, 여수, 대산 등 3개 산단에서 총 24개 사업장이 참여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2017년까지 벤젠은 99.7톤, 1,3-부타디엔은 29톤 배출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2009년 대비로 각각 48%, 39%가 줄어든 수치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배출량 조사제도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한편 자발적 협약 대상을 확대하는 등 화학물질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서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환경부는 200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제도를 시행해 지역별, 사업장별 배출량을 전면 공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련 부처에서는 화학물질 관리 및 피해저감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환경부는 화학물질이 환경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업과 자발적 협약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를 통해 화학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이뤄지면서 각종 안전사고 예방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협약체결은 2005년부터 진행해 온 배출저감 프로그램인 ‘30/50 프로그램’(200개 기업 참여) 보다 선진화된 SMART 프로그램을 도입해 진행된다.
30/50 프로그램은 자발적 협약 체결 후 ‘3년 내에 30%, 5년 내에 50%’ 일률적 저감을 목표로 기업이 저감 대상물질을 선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를 대폭 개선한 것이 바로 SMART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의 기업중심에서 벗어나 유해화학물질 다량 배출지역, 지역별 배출물질, 지역 내 기업별 배출저감 능력 등을 고려해 저감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현재 협약에는 1급 발암물질인 ‘벤젠’과 ‘1,3-부타디엔’의 배출량 감소를 위해 울산, 여수, 대산 등 3개 산단에서 총 24개 사업장이 참여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2017년까지 벤젠은 99.7톤, 1,3-부타디엔은 29톤 배출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2009년 대비로 각각 48%, 39%가 줄어든 수치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배출량 조사제도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한편 자발적 협약 대상을 확대하는 등 화학물질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서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환경부는 200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제도를 시행해 지역별, 사업장별 배출량을 전면 공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련 부처에서는 화학물질 관리 및 피해저감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