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지하철 계단에 에스컬레이터 설치
도시철도에 사전예방관리시스템 구축 승객들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기 위해 오는 2016년까지 모든 지하철 계단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고, 버스의 CNG(압축천연가스) 내압용기나 타이어 상태 등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된다.
서울시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대중교통 체계의 구축을 위해 향후 5년간 추진할 ‘제2차 대중교통계획’을 최근 확정,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시내버스의 55%에 해당하는 4,053대가 저상버스로 교체되고 현재 360대인 ‘장애인 콜택시’는 600대 이상으로 확대된다. 저상버스는 출입구에 계단이 없는데다 차체 바닥이 낮고 경사판(슬로프)이 장착되어 있어 장애인이나, 임신부, 노약자 등이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지하철에 대해서는 보행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1역당 1대 이상의 엘리베이터와 가능한 모든 계단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다. 특히 지하철에는 임산부석을 별도로 만드는 등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가 강화된다.
아울러 버스회사와 철도시설에 대한 안전성도 한층 높아진다. 버스 사업체와 관련해서는 CNG 내압용기나 타이어 관리 등에 대한 안전관리체계가 보다 더 강화될 전망이다. 도시철도의 경우 사전예방관리스템을 구축해 각종 재난과 안전사고 등에 대응할 계획이다.
서울시 윤준병 도시교통본부장은 “제2차 대중교통계획이 마무리되면 시민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체계가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