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건강관리의 최대 적 ‘심혈관질환’
겨울철 건강관리의 최대 적 ‘심혈관질환’
  • 승인 2012.12.26
  • 호수 17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로복지공단 안산산재병원 5내과 오수환 과장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심혈관질환자가 급격히 늘어난다. 특히 심근경색의 경우 기온이 1℃가 떨어질 경우 발병률이 2%씩 증가할 정도다. 따라서 요즘처럼 한파가 이어지는 날에는 심혈관질환 예방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우선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식이요법부터 주의를 해야 한다. 심장에 이로운 영양소에는 불포화지방산, 식물성단백질, 칼륨, 비타민, 식이섬유소, 식물성스테롤 등이 있다.

불포화지방산 중 다불포화지방산은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추고 항혈전효과가 있다. 또 다불포화지방산에는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이 있는데 오메가-3 지방산은 등 푸른 생선과 견과류에 많고, 오메가-6 지방산은 옥수수유, 해바라기씨유, 콩기름 등에 많다. 여기에 더해 콩, 두부에 많은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면 콜레스테롤 섭취를 크게 줄일 수 있으니 꼭 염두에 두길 바란다.

채소와 과일에 많이 포함된 칼륨은 혈압 감소에는 도움이 되나 만성신부전 등의 환자에게는 해로울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환자의 경우는 섭취 전에 꼭 의사와 상담을 해 적정량을 정하는 것이 옳다.

베타카로틴, 비타민 C·E는 LDL콜레스테롤의 산화를 방지하는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다. 베타카로틴은 시금치, 당근, 고구마, 브로컬리, 토마토, 늙은 호박, 오렌지 등에 풍부하다. 비타민 C는 고추, 키위, 브로컬리, 감자, 감귤에 많이 들어있으며 비타민 E는 옥수수유, 올리브유, 콩기름 등에서 함량이 높다. 더불어 채소, 과일, 해조류에 많은 식이섬유소를 하루에 30g 정도 섭취하면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으니 꼭 실천하기 바란다.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에 대해 알아봤으니, 다음은 심장에 해로운 영양소에 대해 짚어보자. 대표적인 것으로는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 콜레스테롤, 나트륨, 단순당 등이 있다.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의 주원인인 포화지방산은 육류의 지방, 버터, 치즈, 마요네즈, 크림, 코코아, 가공기름, 라면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인공지방산인 트랜스지방산은 포화지방산보다 더 심장에 해로운 영양소로 마가린, 쇼트닝, 케익, 빵(크로와상, 페스트리), 도넛, 튀김감자, 팝콘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콜레스테롤의 경우는 달걀, 새우, 유제품, 육류 등에 많이 들어가 있으며, 물에 녹아서 단맛이 나는 물질인 단순당은 초콜렛, 케이크, 탄산음료, 파이, 도넛, 스넥류, 젤리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올바른 생활습관도 식이요법 못지않게 심혈관질환 예방에 꼭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는 2006년 미국심장학회에서 발표한 권장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건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칼로리 섭취와 신체활동간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또 술을 절제하는 가운데 평소 식사 시 소금이 거의 들어있지 않은 음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끝으로 현재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는 유산소 운동에 더해 식이조절과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체중을 적정체중으로 유지하는 한편 담배와 술을 끊고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항시 노력해야 한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공원로 70 (대한산업안전협회 회관) 대한산업안전협회 빌딩
  • 대표전화 : 070-4922-2940
  • 전자팩스 : 0507-351-7052
  • 명칭 : 안전저널
  • 제호 : 안전저널
  • 등록번호 : 서울다08217(주간)
  • 등록일 : 2009-03-10
  • 발행일 : 2009-05-06
  • 발행인 : 박종선
  • 편집인 : 박종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보현
  • 안전저널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본지는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 Copyright © 2025 안전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bhkim@safety.or.kr
ISSN 2636-0497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