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업무보고 통해 근로환경 향상 방안 등 보고

고용노동부가 새정부에서도 장시간 근로 개선 등 안전하고 쾌적한 일터 조성에 총력을 기할 방침임을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지난 14일 고용부로부터 근로시간 단축과 일자리 창출 방안을 중심으로 업무보고를 받았다.
이 자리에서 진 영 인수위 부위원장은 “일자리 창출과 사고 없는 안전한 일터 조성이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이슈”라면서 고용노동부의 막중한 역할과 책임을 강조했다.
또 그는 “고용부의 안전보건 및 고용정책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와 판단을 함으로써 다음 정부에서도 중단 없이 효과적인 정책이 진행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최성재 인수위 고용복지분과 간사는 박 당선인의 대선 공약인 ‘일자리 늘·지·오’를 거론하면서 “일자리를 늘리고, 일자리를 안전하게 지키고, 또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용부가 앞장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고용부는 우선적으로 산업현장에 만연한 장시간 근로 관행을 개선해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도모할 계획임을 밝혔다.
주 40시간 근로에 주말 근무를 포함하는 등의 방법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근로시간을 OECD 평균 수준으로 줄이고, 근로시간 단축을 기반으로 고용을 늘리는 기업에 정책적 지원을 집중하겠다는 것이 고용부의 상세 계획이다. 즉 ‘잡 셰어링(job sharing·일자리 나누기)’을 활성화함으로써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핵심이다.
참고로 우리나라 근로자는 연평균 2,193시간을 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인 1,749시간을 400시간이나 웃도는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다.
이밖에 이날 고용부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청년창업펀드 등을 만들어 청년층의 창업을 지원하고 교사, 경찰, 소방관, 복지 등 공공분야의 청년 일자리를 늘려 100만명에 이르는 청년실업자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도 보고했다.
한편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정부 부처의 업무보고가 끝나는 오는 18일부터 22일까지 전문가 초청 정책간담회를 개최한다는 방침을 이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인수위는 각 분과별로 17일까지 각 부처 업무보고를 받은 뒤 1~2회에 걸쳐 전문가 초청 정책간담회를 삼청동 금융연수원에서 개최한다.
아울러 인수위는 각 분과위별로 민생 및 산업현장을 방문해 생생한 민심을 수렴한 후 향후 인수위가 작성하게 될 로드맵에 포함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윤 대변인은 간담회 운영과 관련해 “각계를 대표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모아 최대한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인 정책 조언을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