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복지공단 창원산재병원 김진우 치과장
치아 통증, 음식물 끼임, 충치 등의 이유로 치과를 찾았다가 사랑니로 인한 증상임을 뒤늦게 아는 환자를 종종 보게 된다. “사랑니를 꼭 뽑아야 하나요?”, “신경이 가깝다던데 괜찮을까요?”, “뽑을 때 많이 아픈가요?”
환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질문을 하면서 치료 받기를 두려워한다. 그렇지만 사랑니에 대해 정확히 아는 사람은 드물다. 오히려 잘못된 정보로 말미암은 오해와 공포로 발치를 미루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사람의 치아 수는 32개다. 이 가운데 4개의 최후방 어금니인 제3대 구치는 여러 가지 명칭이 있다. 이가 나올 때 첫사랑의 마음 앓이를 하듯 아프다 하여 ‘사랑니’, 만 18세쯤 나온다 하여 ‘18세 구치’라고 불린다. 또 영어권에서는 사리 분별할 수 있는 지혜가 생기는 시기에 나온다고 하여 ‘지치(Wisdom tooth)’로 불리고 있다. 이 중 ‘사랑니’라는 표현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어이다.
사랑니가 낫다고 무조건 뽑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치아들처럼 똑바로 나 양치질이 가능하고 관리가 어렵지 않다거나 또 하나의 치아로서 저작 기능에 문제가 없다면 굳이 이를 뽑을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인류가 진화하면서 턱뼈 크기가 작아져 사랑니가 누워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떤 경우에는 잇몸 속에 묻혀 있거나 아예 잘 안 보이는 일도 있다.
사랑니가 누워 있거나 반쯤 묻혀 난 경우에는 대개 이를 뽑아야 한다. 잇몸 안으로 음식물이 끼면서 이로 말미암아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사랑니 앞 치아의 뒷면에 충치가 생길 수도 있다. 사랑니가 완전히 묻혀 난 경우에도 발치를 하는 것이 원칙이다. 보이지 않는 잇몸과 뼈의 내부에서 물혹 따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간혹 깊이 묻혀 있는 경우라면, 신경 손상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X-ray 촬영을 통해 관찰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랑니 뿌리가 신경에 근접한 경우 감각에 이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확인하려면 CT를 찍어야 한다.
만약 사랑니 주변이 부었거나 염증이 발생했다면 발치를 해야 한다. 이때 부분적인 마취 수술을 통해 발치를 하기 때문에 며칠 간 붓고 통증이 지속할 수 있다.
사랑니 치료를 제때 하지 못하면 합병증에 노출돼 더 큰 고통에 시달릴 수 있다. 그러므로 사랑니가 나면 주저 없이 치과 상담을 통해 초기에 치료하도록 하자.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