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신규 사업장 재해예방 기반 구축
산업재해발생 저감에 집중 안전보건공단이 올해 목표를 ‘사업장 자율안전관리 정착 유도’로 정하고 본격적인 움직임에 들어갔다. 공단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3년도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위험성평가가 본격 시행되는 것에 발맞춰 안전보건 사각지대 해소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로 분석된다. 올해 공단의 주요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단은 올해 사업의 추진방향을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자율안전관리 정착 유도 △화재·폭발·누출 등 화학사고 예방·대응 체계 구축 △유해·위험기계 및 설비 사전 위험성 평가 전문기술 제고 등으로 정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공단은 50인 미만 재해발생 사업장을 대상으로 사고 직후 방문해 지술지도 활동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즉 적시 기술지원활동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 사업은 50인 미만 재해발생 사업장 15,000개소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지역별 우선 지원 대상선정 기준에 따라 유해·위험 사업장을 선정해 추진된다. 기술지도 대상에서 제외된 사업장에 대해서는 지역별 특성에 맞게 자료 제공 등을 통해 간접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공단은 위험성평가 컨설팅 및 지원사업에 매진한다는 계획이다. 노·사가 함께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 체계적으로 위험을 제거해 나갈 수 있도록 ‘위험성평가 지원 시스템’을 구축·보급키로 했다. 이를 위해 공단은 인정심사 30,000개소(컨설팅 10,000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주 및 평가담당자 교육, 컨설팅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KRAS)을 통해 표준 위험성평가, 가상체험프로그램, 사례집 등도 제공키로 했다. 아울러 위험성평가 우수사업장에 대해서는 인정 제도를 운영하고 각종 해택을 부여해 제도를 활성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신규사업장의 재해예방기반 구축을 위한 활동도 적극 전개된다. 공단은 50인 미만 제조업 신규설립 사업장에 대해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정하는 사항을 사업초기 단계에서부터 준수할 수 있도록 기술지도를 실시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사업장 특성에 맞는 안전보건 종합패키지(기술+재정+안전보건 매뉴얼, 안전보건 교육)를 지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공단은 클린사업장 조성지원, 산재예방시설자금 융자지원,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확인, 공정안전보고서 심사 확인 등의 사업을 통해 재해예방 및 근로자들의 안전보건확보에 만전을 기한다는 계획이다.
안전보건공단의 한 관계자는 “올해에는 지역별, 사업장별 맞춤형 재해예방활동에 주력할 것”이라며 “이 같은 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된다면 산업재해를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