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물질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추진된다.
환경부는 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제조업체 스스로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 사용을 줄이도록 돕기 위한 ‘어린이용품 관련 사업자 자가관리 이행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18일 발표했다.
환경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어린이용품 제조업체들이 제조용품의 유해물질 함유 여부 등을 스스로 파악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번 사업에는 환경규제 정보와 전문성 부재, 시험분석 비용 부담 등 현실적 문제로 이행이 쉽지 않은 완구업체, 문구업체, 가구업체 등 15개사가 선정됐다.
앞으로 환경부는 기술지원단을 구성해 업체의 제조공정을 진단하고, 유해물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전문 분석기관과 연계해 참여업체가 무상으로 생산 제품별 유해물질 함량을 분석해볼 수 있도록 ‘대상 제품의 시험분석’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업체별로 이행여부 평가를 실시해 우수 기업에게는 포상과 홍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업으로 어린이용품에 사용되는 환경유해물질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기업 스스로 유해물질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시스템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제조업체 스스로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 사용을 줄이도록 돕기 위한 ‘어린이용품 관련 사업자 자가관리 이행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18일 발표했다.
환경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어린이용품 제조업체들이 제조용품의 유해물질 함유 여부 등을 스스로 파악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번 사업에는 환경규제 정보와 전문성 부재, 시험분석 비용 부담 등 현실적 문제로 이행이 쉽지 않은 완구업체, 문구업체, 가구업체 등 15개사가 선정됐다.
앞으로 환경부는 기술지원단을 구성해 업체의 제조공정을 진단하고, 유해물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전문 분석기관과 연계해 참여업체가 무상으로 생산 제품별 유해물질 함량을 분석해볼 수 있도록 ‘대상 제품의 시험분석’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업체별로 이행여부 평가를 실시해 우수 기업에게는 포상과 홍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업으로 어린이용품에 사용되는 환경유해물질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기업 스스로 유해물질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시스템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