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세계를 지배하네요” 이는 한 회의에서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건넨 말이다. 그의 말이 농담으로 들리지 않는 건 몇 해 전부터 우리나라가 이룬 성취 때문이다.
한국경제는 세계적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무역이 2년 연속 세계 9번째로 1조 달러를 돌파하며 세계 7대 교역국에 올라섰다. 그뿐인가. 안보리비상임이사국 진출, G20정상회의 개최, 평창동계올림픽 및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유치, 세계적인 한류 열풍 등 우리나라는 경제·사회·외교·문화·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상을 한껏 드높였다.
게다가 지난해 6월 통계청에 따르면 대한민국 인구가 5,000만 명이 넘었다. 이로써 우리나라가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이상과 인구 5,000만 명을 갖춘 ‘20-50클럽’에 가입하게 됐다. 이는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1990년),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에 이은 세계 7번째다.
이들 국가들이 예외 없이 30-50클럽(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000만 명) 진입에도 성공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20-50클럽 가입은 선진국 진입을 향한 청신호로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이 명실상부 세계 유수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는 의미이다. 더불어 국제사회로부터 그에 걸 맞는 대우와 실력을 인정받는 리더 국가가 됐다는 의미도 내포돼 있다.
허나 이것은 그에 따른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에 부응했을 때 쟁취할 수 있는 영예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과연 그럼 우리나라는 이런 영광을 안을 준비가 됐을까. 그 누구도 쉽게 긍정적인 답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우리 국민들은 상기의 엄청난 성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를 태어나고 싶은 나라 중 19번째로 꼽았다. 국민들은 한 나라의 부(富)보다는 자유, 평등, 교육, 의료, 복지 등 삶의 질에 관한 문제를 우선시했으며 특히 환경, 치안 등 위험이 없는 안전한 나라를 선호했다.
부끄럽지만 우리나라는 외형적인 영광 뒤에 가계부채 1,000조 육박, 하우스 푸어 11만 가구, 취업 포기 청년 증가, 급격한 고령화, OECD국가 중 출산율 최하위, 자살율 1위, 총기 미사용 국가 중 범죄율 1위, 이혼율 2위, OECD회원국 평균 11배의 교통사고율, 산재사고사망자수 최상위 등 불명예스러운 지표도 가득하다.
사회의 안전성을 확보해야할 지표들 대다수가 최하위로, 사실상 아직까지 후진국의 틀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셈이다. 이 모두 우울한 우리의 자화상이지만, 더욱 우리를 안타깝게 하는 것이 있으니 그게 바로 산재현황이다.
우리나라는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 생명 및 건강손실 등 사회적 비용이 매우 크다. 지난해 10월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2012년 산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무려 20조원에 이를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이는 1년 국가예산의 약 6%대에 이르는 수치로 교통재해의 1.4배, 자연재해의 15배에 이른다.
오늘도 산업현장에선 하루 평균 6명이 목숨을 잃고 290여명이 부상을 당한다. 우리나라 산재율은 0.65%로, 평균 0.5%대인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높다. 미국·일본·영국 등 선진국과 사망만인율을 비교하면 최고 14배에 달한다. 쉽게 말하면 산업안전에 관한 한 우리나라는 아직도 전형적인 후진국이다.
우리도 이제는 우리나라의 국격과 경제규모에 걸 맞는 안전을 생각하고 이루어 나갈 때이다. 안전을 완성하기 위한 땀과 노력은 낭비가 아니며 경제적 손해나 지출이 아닌 투자임을 깊이 명심하자.
한국경제는 세계적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무역이 2년 연속 세계 9번째로 1조 달러를 돌파하며 세계 7대 교역국에 올라섰다. 그뿐인가. 안보리비상임이사국 진출, G20정상회의 개최, 평창동계올림픽 및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유치, 세계적인 한류 열풍 등 우리나라는 경제·사회·외교·문화·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상을 한껏 드높였다.
게다가 지난해 6월 통계청에 따르면 대한민국 인구가 5,000만 명이 넘었다. 이로써 우리나라가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이상과 인구 5,000만 명을 갖춘 ‘20-50클럽’에 가입하게 됐다. 이는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1990년),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에 이은 세계 7번째다.
이들 국가들이 예외 없이 30-50클럽(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000만 명) 진입에도 성공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20-50클럽 가입은 선진국 진입을 향한 청신호로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이 명실상부 세계 유수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는 의미이다. 더불어 국제사회로부터 그에 걸 맞는 대우와 실력을 인정받는 리더 국가가 됐다는 의미도 내포돼 있다.
허나 이것은 그에 따른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에 부응했을 때 쟁취할 수 있는 영예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과연 그럼 우리나라는 이런 영광을 안을 준비가 됐을까. 그 누구도 쉽게 긍정적인 답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우리 국민들은 상기의 엄청난 성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를 태어나고 싶은 나라 중 19번째로 꼽았다. 국민들은 한 나라의 부(富)보다는 자유, 평등, 교육, 의료, 복지 등 삶의 질에 관한 문제를 우선시했으며 특히 환경, 치안 등 위험이 없는 안전한 나라를 선호했다.
부끄럽지만 우리나라는 외형적인 영광 뒤에 가계부채 1,000조 육박, 하우스 푸어 11만 가구, 취업 포기 청년 증가, 급격한 고령화, OECD국가 중 출산율 최하위, 자살율 1위, 총기 미사용 국가 중 범죄율 1위, 이혼율 2위, OECD회원국 평균 11배의 교통사고율, 산재사고사망자수 최상위 등 불명예스러운 지표도 가득하다.
사회의 안전성을 확보해야할 지표들 대다수가 최하위로, 사실상 아직까지 후진국의 틀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셈이다. 이 모두 우울한 우리의 자화상이지만, 더욱 우리를 안타깝게 하는 것이 있으니 그게 바로 산재현황이다.
우리나라는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 생명 및 건강손실 등 사회적 비용이 매우 크다. 지난해 10월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2012년 산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무려 20조원에 이를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이는 1년 국가예산의 약 6%대에 이르는 수치로 교통재해의 1.4배, 자연재해의 15배에 이른다.
오늘도 산업현장에선 하루 평균 6명이 목숨을 잃고 290여명이 부상을 당한다. 우리나라 산재율은 0.65%로, 평균 0.5%대인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높다. 미국·일본·영국 등 선진국과 사망만인율을 비교하면 최고 14배에 달한다. 쉽게 말하면 산업안전에 관한 한 우리나라는 아직도 전형적인 후진국이다.
우리도 이제는 우리나라의 국격과 경제규모에 걸 맞는 안전을 생각하고 이루어 나갈 때이다. 안전을 완성하기 위한 땀과 노력은 낭비가 아니며 경제적 손해나 지출이 아닌 투자임을 깊이 명심하자.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