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디지털산단 근로자건강센터 설립을 위한 토론회 개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소규모 사업장이 밀집된 서울디지털산업단지(舊 구로공단)의 안전보건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22일 서울관악고용센터 대회의실에서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근로자건강센터 설립을 위한 지역시민사회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회의에는 서울지역 노동계와 사용자단체, 서울시·구로구청·금천구청 등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참고로 근로자 건강센터는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업환경의학전문의 등 산업보건전문가들이 직업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구체적으로 이곳에서는 직무스트레스나 근무환경에 대한 상담을 비롯해 각종 안전보건과 관련된 진료가 무료로 실시된다.
이와 같은 근로자 건강센터를 서울디지털산업단지에도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서울디지털산업단지에는 2011년 기준으로 11,092개의 기업이 위치해 있다. 이들 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수는 14만명에 이르며 여기에 배후지역을 포함하면 약 20만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게다가 단위 면적(1,000㎡)당 근로자수 밀집도는 92.6명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서울디지털단지의 열악한 안전보건 실태는 2010년 안전보건공단이 실시한 ‘사업지속성과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진단’ 연구 결과에서도 드러나 있다. 이에 따르면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사업장 가운데 지난 3년간(2008~2010) 정부기관으로부터 안전보건관리를 위한 기술지원이나 시설개선자금을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곳은 9.4%에 불과했다.
또 산업재해예방 시설개선 투자 경험도 25.6%로 가장 낮았다. 이밖에 안전보건문제에 대한 인식도 부분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가 43.2%로 평균(53%)보다 낮았다.
이는 곧 근로자들의 안전보건을 확보하기 위해 ‘근로자 건강센터’와 같은 종합건강서비스 기관의 설립이 절실하다는 의미다. 근로자들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해 10~11월 민주노총이 근로자건강센터 설립에 관한 서명운동을 실시했을 때에도 3,000여명에 달하는 근로자들이 동참한 바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오상훈 민주노총 서울본부 조직국장은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제조업, 전자산업의 생산직 근로자는 유해·위험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들은 대부분 간접고용된 형태로 작업환경 개선을 요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지연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상임활동가는 “이 지역 전자업종 근로자의 40% 이상은 주당 49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연장근무 및 휴일근무 등 불규칙한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업무 중 발생하는 각종 질병과 직무스트레스는 사전에 예방이 가능하다”며 “앞으로 단지 내에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확보하는 근로자건강센터가 설립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