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학력과 영어점수 등 스펙보다 실무능력을 중점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핵심직무역량 평가모델’을 개발했다고 지난 29일 밝혔다.
평가모델은 △역량기반지원서 △역량테스트 △역량면접 등 크게 3가지로 구성돼 있다. 역량기반지원서는 직무와 무관한 자전적인 기재사항을 최소화하고 인턴 등 직무와 관련성이 높은 사항을 기재토록 했다.
또 역량테스트는 직무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PSAT(공직적격성평가)와 유사하다. 역량면접은 경험과 업무수행과정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한 상황별 대처방법, 특정 직무와 관련해 의견을 말하는 면접 기법 등으로 진행된다.
고용부는 생산관리·경영지원·금융출납창구직 등 3개 직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우선적으로 개발했다. 앞으로는 대·중견·중소기업, 공공기관 등 기업별 특성과 수요에 맞게 평가모델을 발전,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이채필 고용부 장관은 기업체 임원 등 인사관리자가 모인 자리에서 ‘핵심직무역량 평가모델’을 설명하고,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평가모델은 △역량기반지원서 △역량테스트 △역량면접 등 크게 3가지로 구성돼 있다. 역량기반지원서는 직무와 무관한 자전적인 기재사항을 최소화하고 인턴 등 직무와 관련성이 높은 사항을 기재토록 했다.
또 역량테스트는 직무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PSAT(공직적격성평가)와 유사하다. 역량면접은 경험과 업무수행과정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한 상황별 대처방법, 특정 직무와 관련해 의견을 말하는 면접 기법 등으로 진행된다.
고용부는 생산관리·경영지원·금융출납창구직 등 3개 직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우선적으로 개발했다. 앞으로는 대·중견·중소기업, 공공기관 등 기업별 특성과 수요에 맞게 평가모델을 발전,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이채필 고용부 장관은 기업체 임원 등 인사관리자가 모인 자리에서 ‘핵심직무역량 평가모델’을 설명하고,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