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험물질로 인한 각종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정부가 긴급하게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위원회가 발족했다.
소방방재청은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위험물질 사고 긴급대응 자문위원회’의 첫 회의를 개최하고 자문위원 17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법률·정책, 물질·성상, 환경·보건, 공정, 응급의료 등의 학계 전공 교수와 소방·보건·환경·가스·방사선 등 관련기관 전문가로 구성됐다.
이들은 앞으로 위험물질 안전관리 정책에 대한 자문에 나서는 한편 사고 발생 시 실시간으로 조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초기 대응활동에서부터 수습·복구까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임무를 맡게 되는 것이다. 위원회는 반기별 1회 정도 정기회의를 개최해 위험물질 사고 대응체계의 발전방안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소방방재청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9월 불산누출 사고 시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성과 대응정보의 부족으로 원활하게 현장 수습이 진행되지 못한 바 있다”라며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