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부산지방고용노동청

‘조선업 무재해! 두드림(Do Dream)’ 안전관리 활동 전개
대한민국 제2의 수도, 해양문화의 수도. 바로 부산을 일컫는 말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요충지라고 할 수 있는 부산의 산업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이 고용노동부 부산지방고용노동청(청장 박화진, 이하 부산청)이다. 부산청은 부산의 16개 구 가운데 부산진구, 연제구, 중구, 서구, 영도구, 사하구, 동구, 남구 등 8개 구를 관할하고 있다.
이들 지역 산업의 특색은 뚜렷하다. 항구도시의 특성상 조선업종이 밀집해 있는 것을 첫 손에 꼽을 수 있다. 특히 영도구에는 우리나라의 대표 조선업체인 한진중공업이 자리잡고 있는 것은 물론 중소규모의 항만하역업체들이 들어서 있기도 하다.
부산청 관할 지역에 조선 관련 업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사하구에는 신평·장림산업단지가 위치해 있고 주변에는 크고 작은 제조공장들도 자리잡고 있다. 또 관할지역 곳곳에서는 중소규모의 건설공사도 한창 진행 중이다.
이처럼 부산은 조선업종과 항만하역업종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일반 제조업, 건설업 등이 산업 전반에 분포돼 있다. 이는 그만큼 안전정책을 전개함에 있어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산청은 이러한 지역 특성을 감안해 실효성 높은 재해예방정책을 전개해 나갔다. 그 토대를 마련한 것은 부산시내 27개 각급 기관으로 구성된 ‘안심일터 부산지역추진본부’다. 본부에서는 먼저 조선업 재해 예방을 위해 ‘조선업 무재해! 두드림(Do Dream)’을 지역 브랜드 사업으로 선정해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 사업의 핵심은 사업장 관계자들이 안전의식을 높이는 것이다. 이에 걸맞게 부산청에서는 ‘조선업 재해예방 전문가 회의’를 개최해 재해사례를 분석하고, 예방대책을 수립해 현장에 보급해 나갔다. 또 선박수리조선소가 밀집한 영도구와 구평동 지역에서는 보호구 착용 지도, 안전체험, 재해사례 교육 등 집중적인 관리·감독을 실시했다.
아울러 부산청은 관내 또 다른 중심 산업인 항만하역업의 안전에도 아낌없는 노력을 다했다. 컨테이너 등 중량물 하역 작업으로 인해 사건 사고가 많다는 항만하역작업의 특성에 따라 안전보건캠페인을 적극 전개하는 한편 특별 재해예방교육 등을 실시한 것이다. 이 같은 안전문화 확산 정책은 건설업, 제조업, 운수·창고업 등에도 그대로 적용됐다.
한편 부산청에서는 단순하게 안전의식 고취에만 매진한 것은 아니다. 부산청에서는 엄격한 관리·감독을 통해 산업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 나가는 데도 앞장섰다. 지난해 부산청은 총 866개소 사업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통해 791개소 사업장에서 산안법 위반 사례를 적발했다. 여기에 엄정한 법의 잣대를 적용해 전면 작업 중지 10건, 사법처리 106건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이러한 재해예방활동 추진 결과, 지난해 11월말 기준 부산청 관내 재해율은 0.56%로 전년 동기 대비 0.01%p 감소했다.
박화진 청장은 “올해에도 관내 사업장의 재해 감소를 위해 자율안전관리 문화를 조성하는 한편 엄격한 관리·감독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문화의 확산과 엄정한 법 집행을 통해 지역 산업의 안전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부산청. 무재해 달성을 위한 부산청의 염원이 관내에 널리 퍼지길 기원해 본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