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들에 대한 산업안전보건, 근로기준 교육을 대폭 강화키로 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기아차 광주공장에서 현장실습을 받던 학생이 뇌출혈로 쓰러진 데 따른 것이다.
교과부는 15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 근로기준 등에 대한 사이버교육 과정을 개설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실습생들은 이들 분야에 대해 13시간 내외의 사이버 교육을 받아야 한다.
이외에도 교과부는 교장ㆍ취업부장ㆍ취업지원관 등 담당 교직원 1400여명에게 16~24시간의 집합연수를 실시키로 했다. 이 교육에도 역시 산업안전보건 및 근로기준 교육이 포함된다.
교과부는 이들 사항에 대해 특별교부금 7억 5,000만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교육 및 교직원 연수는 학생들의 현장실습이 시작되는 하반기 이전에 마친다는 계획이다.
교과부는 현장실습과 관련한 프로그램의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현재 고용노동연수원과 한국고용정보원, 안전보건공단 등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실습생들의 산업재해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는 방안도 관계부처와 협의한 뒤 이달 말쯤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과부는 15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 근로기준 등에 대한 사이버교육 과정을 개설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실습생들은 이들 분야에 대해 13시간 내외의 사이버 교육을 받아야 한다.
이외에도 교과부는 교장ㆍ취업부장ㆍ취업지원관 등 담당 교직원 1400여명에게 16~24시간의 집합연수를 실시키로 했다. 이 교육에도 역시 산업안전보건 및 근로기준 교육이 포함된다.
교과부는 이들 사항에 대해 특별교부금 7억 5,000만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교육 및 교직원 연수는 학생들의 현장실습이 시작되는 하반기 이전에 마친다는 계획이다.
교과부는 현장실습과 관련한 프로그램의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현재 고용노동연수원과 한국고용정보원, 안전보건공단 등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실습생들의 산업재해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는 방안도 관계부처와 협의한 뒤 이달 말쯤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