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별로 상이한 기준, 인증비용 낭비 초래
가구업계가 정부 부처별로 다른 친환경 제품 인증체계를 단일화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가구의 종류에 따라 친환경 인증을 해주는 정부 부처가 다르다보니 인증비용이 낭비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12일 가구업계에 따르면 현재 아파트에 들어가는 붙박이가구는 국토해양부 청정건강주택기준에 따라 제품군별로 인증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장롱, 소파와 같은 이동식 가구는 기술표준원 제품안전기준에 따라 KC마크 인증을 받고 있다. 또 사무용 가구는 조달시장 참여를 위해 KC마크와 더불어 환경부의 환경마크 인증을 제품별로 받아야 한다. 즉 가구 관련 친환경 인증기관만 3개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가구업계는 동일한 자재를 사용했더라도 붙박이, 이동식, 사무용 가구 등으로 종류를 달리해 제작하면 각기 다른 기관에서 친환경 인증을 받아야 되는 상황이라면서 불만을 표출했다.
또 가구업계는 이로 인한 인증비용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다양한 제품군을 개발할 경우 각각에 대해 인증비용이 발생되기 때문에, 업계가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이 때문에 개발을 포기하고 있는 업체도 있을 정도다.
아울러 업계는 친환경 측정법이 부처별로 다른 것도 문제점으로 지목했다. 현재 국토부의 경우 1∼24㎥인 실험공간에 가구를 넣고 유해물질 발생량을 측정하는 대형체임버 측정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기표원과 환경부는 가구의 일부분을 잘라내 실험하는 데시케이터 측정법과 소형체임버 측정법을 병행·사용하고 있다.
가구업계의 한 관계자는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가구의 친환경 인증체계를 한 곳으로 일원화하고, 인증도 제품별이 아닌 회사별로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측정방식과 기준치도 통일해서 업계의 혼란과 부담을 줄여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