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반나절 생활권으로 변경
KTX(Korea Train eXpress)가 지난 1일 개통 10주년을 맞았다. 2004년 세계 5번째로 개통하여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들며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지난달 30일 코레일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KTX 누적 이용객은 4억1400만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 국민이 8번 이상 이용한 셈이다. 또 하루 평균 이용객은 15만명으로 개통 초기 7만2000명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KTX의 총 운행거리는 2억4000만㎞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수치는 지구를 약 5971바퀴를 달린 것이며, 1일 운행횟수는 232회로 개통 초기 132회에 비해 100회 증가했다. 최다 이용구간은 서울~부산으로 KTX 전체 이용객의 13.7%(1일 2만명)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서울~동대구 11.1%(1만6000명), 서울~대전 7.8%(1만2000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KTX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은 대한민국의 관문 서울역이었으며, 가장 비약적인 성장을 보인 역은 천안아산역과 광명역으로 나타났다.
이용객 증가에 따라 KTX 수송수입도 늘어났다. 2004년 8개월간 운행해 5512억원의 수입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2007년 최초로 1조원대(1조446억원)를 돌파한 것이다. 이후 매년 수입이 늘어 2011년 1조3853억원, 2013년에는 1조605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KTX 수송수입은 코레일 전체 수입의 35.3%를 차지했다.
7000여명 매일 KTX로 출퇴근
KTX의 개통으로 가장 눈에 뜬 부분은 대한민국의 사회·경제·문화를 비롯한 국민 생활의 패턴이 크게 변경됐다는 것이다. 수도권과 지방간의 이동시간이 단축, KTX를 이용한 통근족이 증가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KTX 개통 전 수원까지가 생활권이었다면, 개통 후에는 대전까지 확장됐다. 특히 천안아산, 오송은 서울 생활권으로 묶일 정도다.
실제로 KTX 정기권 발매 매수를 살펴보면 2004년 8202매(연간누적)에서 2013년 7만1770매(연간누적)로 10년 만에 9배가량 증가했다. 또 2014년 3월(한달 간 판매수치) 현재 7000여명이 매일 KTX로 출퇴근(통학)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KTX가 달리면서 공기도 맑아졌다. 서울∼부산간 KTX의 탄소배출량은 9.98kg(1인 기준)으로 승용차의 7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이동 시 승용차 대신 KTX를 이용하면 소나무 12.4그루를 심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지난 10년간 절감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소나무 33억 그루를 심은 것과 같은 수준이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향후 고객 안전과 서비스에 최선을 다하면서 한반도를 넘어 유라시아 대륙까지 꿈과 비전을 안고 힘차게 달리는 ‘국민행복 코레일’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