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시설 특별점검 등 안전 사각지대 해소 위해 적극 노력
우리나라의 가스안전관리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 가스사고 인명피해율(백만가구당 인명피해자 수)은 7.5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인 일본(5.5명)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995년 577건에 달하던 가스사고는 가스소비량이 4배 가까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21건으로 1/5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또 인명피해도 1995년 711명(사망 143명, 부상 568명)에서 지난해 161명(사망 17명, 부상 144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이는 그동안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이 가스사고로부터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그 대표적인 예로 지난달 맨해튼 사고와 같은 대형참사가 국내에서는 일어날 수 없다는 것이 정부 당국자의 설명이다.
한국가스안전공사의 한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가스사용 역사가 100년이 넘어, 공급배관의 재질이 상수도를 공급하는 것과 유사한 주철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하지만 국내의 가스배관 재질은 내식성과 내진성능을 가진 폴리에틸렌배관이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이어서는 “도시가스배관 손상사고 예방을 위한 굴착공사정보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가스누출 시 자동으로 감지하여 가스를 차단하는 자동차단장치 등 안전장치가 보급돼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낡은 가스배관 사용으로 맨해튼에서만 가스누출 신고가 6년간 10만 5천건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10년간 신고건수가 343건에 불과하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도시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고발생 위험이 높은 LP가스시설에 대해서도 불량 LP가스용기 유통 근절대책을 비롯해 △퓨즈콕 보급사업 △서민층 가스시설 무료 개선사업 △타이머콕 보급사업 등 안전장치의 개발 보급을 적극 추진하는 등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영세 소규모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의 일환으로 법정검사 대상이 아닌 재래시장 등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가스 공급자와 합동점검을 진행하는 등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대천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은 “앞으로도 가스사고로부터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보다 체계적인 안전관리 활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