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매년 봄 어김없이 찾아오는 황사에 대비하여 ‘황사 대비 건강수칙’을 지난달 31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황사에 노출될 경우 안과질환(결막염), 호흡기질환, 피부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황사 예·특보 발령 시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특히 황사에 취약한 호흡기질환자(천식, 만성기관지염 등), 노약자, 어린이는 외출을 삼가하고, 부득이 외출을 해야 할 경우에는 황사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천식 환자인 경우에는 기관지 확장제를 휴대하는 것이 좋다.
또 실내에 있을 때에는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출 시에는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외출 후에는 양치질과 얼굴, 손·발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의 한 관계자는 “황사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개인 건강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질병관리본부는 의료기관에 대해서도 황사 예·특보 발령시에는 창문, 환기구 등의 시설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황사에 민감한 천식 등 호흡기질환자 보호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에 따르면 황사에 노출될 경우 안과질환(결막염), 호흡기질환, 피부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황사 예·특보 발령 시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특히 황사에 취약한 호흡기질환자(천식, 만성기관지염 등), 노약자, 어린이는 외출을 삼가하고, 부득이 외출을 해야 할 경우에는 황사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천식 환자인 경우에는 기관지 확장제를 휴대하는 것이 좋다.
또 실내에 있을 때에는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출 시에는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외출 후에는 양치질과 얼굴, 손·발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의 한 관계자는 “황사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개인 건강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질병관리본부는 의료기관에 대해서도 황사 예·특보 발령시에는 창문, 환기구 등의 시설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황사에 민감한 천식 등 호흡기질환자 보호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