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시설 합동점검, 여객선 과적·과승 집중단속 실시
정부가 행락철을 맞아 안전관리 체계를 일원화하기로 했다. 그동안 소관부처별로 추진하던 안전관리 대책 기간을 봄·가을 각각 2개월씩 모두 4개월 동안 합동으로 관리하기로 한 것이다. 안전행정부는 지난 11일 ‘제12차 안전정책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이 의결했다. 참고로 이날 회의는 강병규 안행부 장관 취임 후 처음 열린 것으로, 신임 장관의 안전정책 방향을 엿볼 수 있는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 안행부는 ‘행락철 안전 집중관리기간’을 봄(4∼5월)과 가을(9∼10월)에 각각 2개월씩 정해 집중적인 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다만 봄에는 15일간의 예비기간을 두고 선제적인 점검과 교육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이처럼 안전 집중관리기간을 설정한 이유는 그동안 사고예방 업무가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담당 부처별로 대책기간을 정하는 바람에 현장에서 혼선이 빚어지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앞으로는 부처별 혹은 중앙·지자체 합동 안전점검을 ‘행락철 안전 집중관리기간’에 실시해 중복점검 등으로 인한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먼저 이번 집중관리기간에는 유원시설 363곳 등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중앙부처·지자체가 현장을 중점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또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전세버스·관광버스에 대한 안전점검을 비롯해 위험도로 안전진단, 유도선·여객선 안전관리 실태 점검, 케이블카 안전점검 등의 활동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와 관광지 등에서는 전세버스 부적격 운전자 및 음주운전 등에 대한 단속을 실시하고, 해상에서는 구명조끼 착용 여부, 여객선의 무면허 운전, 과적·과승 등에 대한 집중단속을 벌이기로 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3월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실시한 ‘개학기 학교주변 안전관리 실태 점검’ 결과도 보고됐다. 이에 따르면 당국은 스쿨존 교통법규 위반 등 모두 3만2982건의 불법행위를 적발하고, 4056㎞구간의 옥외광고물을 정비했다.
강병규 안행부 장관은 “안전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은 정부가 시행하는 대책의 실효성을 현장에서 확인하고 점검해야 한다”라며 “행락철 안전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