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저널의 창간 5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그동안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지킴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온 것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건강하고 쾌적한 노동환경에서 일할 권리’는 근로자의 인권이며, 산업안전보건의 확보는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근로자들은 아직도 이러한 기본적인 인권조차 보장 받지 못한 채 여전히 유해·위험 요인에 방치되어 있습니다. 매일 6명의 근로자가 사망하고 250여명이 산업재해로 고통 받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 반복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지난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 참사는 안전을 무시한 선사와 선원들의 과실 및 무책임이 낳은 인재(人災)이자 정부의 무분별한 규제완화와 부실하기 짝이 없는 선박 안전관리 시스템이 빚은 관재(官災)로 드러나면서 국민들의 분노가 하늘을 찌르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는커녕 오히려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산재공화국’, ‘안전불감증 공화국’으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희생을 담보로 기업의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가들과 경제발전을 내세워 각종 안전보건 관련 규제를 무분별하게 완화해 준 정부가 만들어낸 합작품인 것입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은 규제를 “암 덩어리”, “쳐부숴야 할 원수”라고 성토하였습니다. 하지만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제도를 강화하는 것을 규제라고 인식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근로자,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대책은 규제강화가 아닌 원칙이고 기본이기 때문이다.
원칙이 바로서야 산업재해 및 재난을 예방할 수 있고 근로자, 국민, 기업, 국가 모두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이것이 비정상의 정상화인 것입니다. 더 이상 근로자, 국민이 억울하게 죽음을 당하거나 직업병에 걸려 고통 받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안전저널은 노동현장의 안전보건 소식 및 정책을 전달하는 언론으로서 산업재해 예방은 물론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보호에 큰 기여를 하였다고 생각합니다.
한국노총 또한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보호를 위해 정책 및 제도개선을 비롯하여 다양한 산업안전보건 활동을 전개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한국노총은 산업안전보건과 관련된 정부의 무분별한 규제완화를 막아내고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보호를 위한 노동조합의 현장활동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한국노총과 안전저널은 대한민국이 ‘국민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나라’가 되도록 힘을 모아나가야 할 것입니다.
다시 한 번 안전저널 창간 5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앞으로도 노동현장에서 직업병이 사라지는 것은 물론이고, 건강하게 근로자의 삶이 유지될 수 있도록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지킴이’로서의 전문 언론매체가 되길 부탁드립니다.
안전저널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