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 예방대책 및 안전관리 강화 방안 마련 시급

울산과 포항지역에서 잇따라 사고가 발생하면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울산지역은 467개소에 달하는 사업장이 인화성·고체성 유독물질을 취급(전국의 35%)하고 있어 사고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빈번히 발생하는 화학물질 사고
먼저 지난 8일 오후 6시 27분께 울산 남구에 위치한 H불산 제조업체에서 폭발사고가 나 작업 중이던 조모(32)씨가 사망하고, 박모(46)씨 등 4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고는 공장 내 플랜트설비 가운데 외부에 노출된 LNG가열버너를 시험 재가동하는 중에 발생했다.
이 업체에서는 지난해 5월에도 에어컨 냉매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가 10여분간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고, 2012년 9월에도 NF3(삼불화질소) 충전소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유독성 물질인 NF3가 누출되기도 했다. 사고 당시 30~40㎏ 정도가 유출됐지만 다행히 큰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 지난 8일 오후 6시 34분께 S화학업체에서는 위험물 저장탱크에서 청소작업을 하던 협력업체 직원 서모(49)씨, 정모(53)씨, 박모(47)씨 등 3명이 질식해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소방당국은 이들이 탱크청소와 부식방지를 위한 코팅 작업을 하던 중에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추락 등 사고유형도 다양
이들 지역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화학물질 사고에 국한돼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3월에서는 HS중공업에서 크레인에서 떨어진 철판에 맞아 작업중이던 근로자 1명이 사망했고, 지난 4월에는 작업 중 추락사고도 있었다.
또 H중공업에서는 지난달 25일 족장 해체작업을 하던 근로자 3명이 30미터 아래로 추락해 1명이 사망하기로 했다. 경찰은 족장무게를 이기지 못한 지지대가 붕괴되면서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지난 7일 H조선에서는 8.6미터 블록 위에서 작업 중인 근로자가 추락해 숨지기도 했다.
◇부실한 대응체제에 대한 지적도 일어
포항에서는 P제철소에서 사고가 난 것은 물론이고, 사후 대응도 부실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9일 오전 5시 10분께 P제철소 2고로에서 가스배관 밸브교체작업을 하던 중 가스누출로 폭발사고가 발생해 하청업체 근로자 이모(53)씨 등 5명이 다쳤다.
문제는 P제철소가 사고 당시 소방서나 경찰서 등 관계당국에 신고하지 않은 채 자체적으로 수습조치를 취했다는 것이다.
P제철소 측은 “자체 소방대를 통해 화재를 진화하고 부상자를 치료했다”며 “이후에 출동한 경찰의 조사를 받았다”고 해명했다.
이 같은 P제철소의 사후처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7일에도 3고로에 쇳물이 흘러나와 화재가 발생했으나 소방당국에 신고하지 않은 것이다.
사망사고가 발생했음에도 현장보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지난해 12월 공장 신축 공사 현장에서 하도급 업체 직원 2명이 숨지고, 같은 날 오후 난간 용접작업자가 낙상하여 숨졌으나 모두 시신을 수습한 뒤에 경찰에 사고사실을 통보한 것이다. 사망사고 발생시 형사소송법에 따라 경찰이 출동할 때까지 현장을 보존해야 하지만 P제철소 측은 시신을 자체 수습한 것이다.
이에 노동계는 제도적인 보완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노총의 한 관계자는 “노후설비 개·보수나 교체, 안전설비 확충에 무관심했기 때문에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라며 “현장 근로자와 지역주민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