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차량 2022년까지 모두 교체
서울시가 지난 2일 발생한 상왕십리역 지하철 2호선 추돌사고와 관련해 통합관제센터를 설립하고 노후 전동차를 교체하는 등 안전관리시스템을 전면 개선하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9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선방안은 △지하철 운영시스템 전반 분석 △투자 우선순위에서 안전 분야를 최우선 반영 △외부 협력회사에 대한 관리감독 제도화 및 강화 등을 기본 방향으로 마련됐다.
이번 방안을 토대로 시는 즉시 조치할 수 있는 사항은 조속히 실행에 옮기고, 단기 및 중장기 추진 사항은 별도로 구분해 체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서울시가 발표한 개선 방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는 7월 말까지 서울시 주관으로 1~9호선 신호시스템 전반에 대해 외부전문가와 특별합동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 130여개 항목으로 구성된 ‘철도안전관리체계’를 도입해 이중삼중의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번 사고에서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매뉴얼은 현장에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 지하철 운영기관 전 직원의 ‘철도안전교육’ 수료를 의무화하는 등 긴급상황에 대비한 대응체제를 확립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서울시는 현재 노선별로 분리 운영되고 있는 관제센터를 ‘SMART 통합관제센터’로 통합해 운영하고, 전체의 59%를 차지하는 20년 이상 노후된 전동차를 2022년까지 모두 교체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전동차 경정비 등 10개 분야 243개에 이르는 외부 협력회사에 대한 지도·감독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활동에 나서기 위해 올해부터 2022년까지 35개 사업에 총 1조8849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상왕십리역 사고를 지하철 운영 시스템 전반을 종합적으로 성찰·개선하는 계기로 삼아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해 나가겠다”라며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작은 부분까지도 놓치지 않고 보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