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상가 실내 공기질 개선에 일조할 듯

지하상가 등 다중이 이용하는 내부시설에 쌓인 미세먼지를 원격으로 청소하는 로봇이 개발됐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우리나라의 독자 설계와 제작기술로 밀폐된 환기통로 내부를 청소하는 로봇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이번 로봇 시스템 개발은 환경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통해 2011년부터 3년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주도적으로 연구해 이뤄졌다.
이번에 개발된 청소로봇을 활용하면 밀폐된 공간에서 오염된 공기를 마시는 위험이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하상가 등 공기 순환이 용이하지 않은 공간은 환기통로에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축적되면서 공기가 오염되기 쉽다.
특히 환기구에 누적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은 세균의 번식이 용이한 만큼 환기통로를 청소하지 않고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건강에도 악영향을 준다.
이에 이번에 개발된 로봇 시스템은 지하상가 등 다중이용시설의 환기통로 내부에 장기간 쌓인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청소로봇에는 바닥 청소용 전면 솔, 천정과 좌·우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는 로봇 팔이 장착돼 있어 환기통로 4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다. 또 시간당 40m 가량을 청소할 수 있는데다 91%의 높은 청소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환기통로 내부의 오염도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김재석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사업실장은 “이번에 개발된 청소로봇에는 여러 모양의 솔을 장착할 수 있어 다양한 환기통로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