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올해 예비 일·학습병행 기업 3000곳을 지정해 육성하고 오는 2017년까지 최대 1만곳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서울 지방고용노동청에서 ‘제39차 고용정책심의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예비 일·학습 병행제 기업 운영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참고로 일·학습병행제란 기업이 주도해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체계적인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현장교사가 학교 대신 기업현장에서 가르치고, 산업계가 이를 평가해 자격을 부여하는 새로운 교육훈련제도다.
고용부는 우수한 현장 교육·훈련시설과 프로그램이 있는 기업은 바로 일·학습병행기업으로 지정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우선적으로 현장훈련 프로그램 적절성, CEO의지, 기술력의 유무, 근로조건 보호 등을 기준으로 일·학습 병행제 기업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선정된 기업은 청년 인턴 1인당 월 최대 80만원의 인턴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또 현장훈련계획 컨설팅, 현장실습생 DB구축 등의 지원도 이뤄진다.
방하남 장관은 “앞으로 일·학습병행제, 고용·복지 인프라 강화 등을 통해 국민들이 체감하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현장을 중심으로 챙겨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