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이 농약에 노출되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된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2018년까지 농업인 건강 및 생활 안전 지원 연구를 추진한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서울대를 비롯해 충남대, 충북대, 호서대, 관동대, 한양대와 한국생물안전성연구소, 안전성평가연구소가 참여하게 된다.
이번 연구는 국내 농업현실을 반영해 합리적인 한국형 농약 노출량 산정 모델을 만들고, 농약을 뿌리는 양과 방법, 농약 노출을 막기 위한 농약 방제용 개인 보호 장비의 성능과 규격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된다.
또 실제 노출된 피부에 흡수된 농약의 양과 독성에 대해 연구해 농약과 농업인의 만성 퇴행성 질환과의 연관성도 조사할 계획이다.
박경훈 농촌진흥청 화학물질안전과 연구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농업인이 농약에 노출되지 않고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지난 2009년부터 ‘농약 살포자 위해성 평가기준’을 고시해 농약 노출로부터 농업인의 건강을 제도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위해 평가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농작업자 농약 노출량 산정 모델이 영국의 ‘농작업자 노출량 산정모델’을 변형해 도입한 것으로 국내 사정과 달라 개선 요구가 많았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2018년까지 농업인 건강 및 생활 안전 지원 연구를 추진한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서울대를 비롯해 충남대, 충북대, 호서대, 관동대, 한양대와 한국생물안전성연구소, 안전성평가연구소가 참여하게 된다.
이번 연구는 국내 농업현실을 반영해 합리적인 한국형 농약 노출량 산정 모델을 만들고, 농약을 뿌리는 양과 방법, 농약 노출을 막기 위한 농약 방제용 개인 보호 장비의 성능과 규격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된다.
또 실제 노출된 피부에 흡수된 농약의 양과 독성에 대해 연구해 농약과 농업인의 만성 퇴행성 질환과의 연관성도 조사할 계획이다.
박경훈 농촌진흥청 화학물질안전과 연구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농업인이 농약에 노출되지 않고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지난 2009년부터 ‘농약 살포자 위해성 평가기준’을 고시해 농약 노출로부터 농업인의 건강을 제도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위해 평가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농작업자 농약 노출량 산정 모델이 영국의 ‘농작업자 노출량 산정모델’을 변형해 도입한 것으로 국내 사정과 달라 개선 요구가 많았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