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의 모든 버스와 전철,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고 철도 승차권 발매까지 할 수 있는 ‘전국호환 교통카드’가 출시된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한국도로공사, 코레일은 오는 21일부터 수도권 버스·지하철과 전국 철도, 고속도로에서 호환 가능한 교통카드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전국호환 카드는 지난해 말 부산지역을 시작으로 그간 일부 지역에서 시범운영 되어 왔다. 이번에 대상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함으로써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다만 21일 기준으로 거제와 통영, 남해, 하동, 안동 등 경북·경남 일부지역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개통당일에는 전국 소매점에서 티머니, 캐시비 등의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판매가 시작되며, 레일플러스(코레일)는 시범운영을 거쳐 9월중에 판매될 예정이다.
또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던 교통카드도 시스템 정비를 거쳐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광주 한페이카드는 하반기 중 전국호환이 추진되고, 대구의 탑패스 카드 등도 시스템 보완 및 사업자간 정산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개통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의 한 관계자는 “지역별로 사용하는 교통카드가 달라 타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사용에 불편이 있었다”면서 “지난 2007년부터 전국 호환 표준기술을 개발하는 등 교통카드 전국호환 정책을 추진해 왔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국토부는 고속버스도 연말까지 시범운영을 거쳐 전국호환 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국호환 카드 서비스 이후에도 기존 선불교통카드는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3년간(2014년말~2017년말) 한시적으로 철도와 고속도로에서도 추가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 티머니, 캐시비 등 전국호환 카드 발행사업자들은 앞으로는 기존 교통카드 발행을 중단하고 전국호환 카드만 발행하게 된다.
맹성규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은 “국토부와 지자체, 운송기관 등이 5년 여간 추진해온 교통카드 전국호환 정책이 결실을 맺게 됐다”면서 “여기서 그치지 않고 빅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교통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정보도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