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전문가 양성, 이렇게 해야 한다
재난 전문가 양성, 이렇게 해야 한다
  • 승인 2014.06.18
  • 호수 25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현교 | 충북대학교 안전공학과 교수
세월호 사건으로 인해 나라 전체가 침몰한 듯한 느낌이다. 이후에도 대형 안전사고는 반복해서 발생했다. 이때마다 여기저기에서는 ‘마인드를 바꿔야 한다’,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등의 주장이 나왔다.

특히 사고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재난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무턱대고 달려든다면 그것 또한 부실시공이 될 것이다.

숭례문 복원에서 보듯 단기복원은 부실을 초래하게 된다. 수백 년을 지탱할 건물이라면 나무 하나, 못 한 개부터 세심하고 꼼꼼하게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재난 전문가 육성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들을 당부하고 싶다.

우선 재난 전문가는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육성돼야 한다. 이번 세월호 사건에서 보듯 한 건의 재난에 관련되는 사람들은 매우 다양하다. 해양 해난사고의 특성상 해양관계자들은 물론, 교통 및 통신체계, 응급구난체계, 사회적 지원체계 등 사회의 구성원들이 종횡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관련 기술도 그만큼 급속히 발달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둘째,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가 육성돼야 한다. 세월호 사건에서도 확인할수 있듯이 우리 사회의 곳곳에는 자신의 영역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또한 후일 자신의 책임으로 귀속되는 일은 어떻게든 피하고 보려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사람들이 있는 한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신속히 정보를 교환하고 기관간, 부서간 의견을 결집해 행동에 옮긴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고의 대응이든 재난의 대응이든 전체적인 흐름과 모양을 인식할 수 있는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로는 재난전문가 육성에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재난은 일단 발생하면 막대한 피해가 생기는 동시에 사후에도 복구·복원하기까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즉 재난은 국가적 존폐를 위협하는 상황일 수도 있는 것이다. 선진국의 노하우를 배워 오고 선진기술을 도입하려면 돈이 드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는 생각이 우선돼야 한다.

넷째, 재난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기관은 특이성이 인정돼 대학교의 취업률이나 입학률과 같은 외형적 지표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진 전문가를 육성하려면 관계자 모두가 책임을 공유하는 독립성이 보장된 형태로 운영돼야 하는 것이다.
다섯째 재난전문가는 이론이 아니라 반복되는 훈련과 실습을 통해 육성돼야 한다.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현장 가까이에 있다. 또 반대로 현장을 잘 아는 사람을 컨트롤타워로 세우려면 현장에서의 경험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재난전문가가 육성된다고 끝이 아니다. 기본질서와 규칙은 스스로 지킬 줄 아는 양식있는 구성원이 있어서 빛이 난다. 시스템을 아무리 개조해 봐야, 매뉴얼을 아무리 만들어 봐야 지켜야 할 사람들이 지키지 않으면 사고는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이 사회에서 재난을 없애려면, 사고를 예방하려면 각자 자기 맡은 곳에서 각자의 소임을 책임있게 다해야 한다. 그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가장 효율적인 재해예방법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재난전문가는 특정한 자격을 갖춘 이들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구성원 모두가 재난재해에 대한 안목을 가지고 경계심을 늦추지 않을 때에야 비로소 우리사회는 재난재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공원로 70 (대한산업안전협회 회관) 대한산업안전협회 빌딩
  • 대표전화 : 070-4922-2940
  • 전자팩스 : 0507-351-7052
  • 명칭 : 안전저널
  • 제호 : 안전저널
  • 등록번호 : 서울다08217(주간)
  • 등록일 : 2009-03-10
  • 발행일 : 2009-05-06
  • 발행인 : 박종선
  • 편집인 : 박종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보현
  • 안전저널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본지는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 Copyright © 2025 안전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bhkim@safety.or.kr
ISSN 2636-0497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