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등은 지난 22일 오후 카타르 도하서 열린 ‘제38회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남한산성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고 밝혔다.
국내 유적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은 지난 2010년 ‘한국의 역사마을 양동·하회’ 이후 4년 만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석굴암·불국사와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1995년), 창덕궁, 수원 화성(1997년), 경주 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2000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년), 조선왕릉(2009년), 하회·양동 역사마을(2010)을 포함해 11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남한산성은 세계문화유산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로부터 동아시아에서 도시계획과 축성술이 상호 교류한 증거를 지닌 군사 유산으로 세계 유산적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현장에서 심사를 지켜본 김문수 도지사는 “오늘 이곳, 이 자리에서 남한산성은 새로운 미래를 향한 또 하나의 발걸음을 내딛게 됐다”며 “대한민국과 경기도는 동아시아 역사 중심인 남한산성의 인류 보편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