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지원서비스와 복지 전반 상담·신청·접수 등 통합 제공
다양한 고용 및 복지 서비스를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가 잇따라 문을 연다. 고용노동부와 안전행정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금융위원회, 국가보훈처 등은 기관 간 벽을 없애고,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한 곳에서 함께 제공하는 ‘고용복지+센터’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고용복지+센터’를 방문하는 주민은 우선 고용센터의 구직급여, 취업성공패키지, 직업훈련 서비스 등을 비롯해 경력단절여성과 제대군인을 위해 마련된 ‘여성새로일하기센터’와 ‘제대군인지원센터’에서 다양한 취업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지 상담창구에서는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등 복지서비스 전반에 대한 상담·신청·접수가 가능하며, 서민금융상담창구에서는 서민층 저리자금, 신용회복 지원, 불법 사금융 피해 상담 등 다양한 제도를 종합적으로 상담·지원받을 수 있다.
앞서 지난 1월 ‘남양주 고용복지+센터’가, 지난달에는 ‘부산 북구 고용복지+센터’가 개소한 바 있다. 이들 센터를 찾은 주민들은 한 곳에서 편리하게 다양한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올해 고용복지+센터 8곳을 추가로 열기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2월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벌였고, 현장실사 등을 거쳐 지역을 확정했다. 현재 해당 지자체와 협업해 개소를 준비하고 있고, 추후 1, 2차로 나눠 집중적으로 문을 열 계획이다.
우선 이달까지를 1차 집중개소기간으로 정해 충남 천안과 서산, 경북 구미와 칠곡, 경기 동두천에 고용복지+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이어 2차 10월로 예정된 집중개소기간에는 전남 해남과 순천, 강원 춘천 지역에 고용복지+센터가 운영에 들어가게 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고용복지+센터’는 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와 고용·복지 연계를 한 단계 발전시킨 모델”이라며 “단순히 한 공간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보다는 프로그램·서비스간의 통합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는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협업해, 고용복지+센터를 오는 2017년까지 70곳으로 단계적으로 확대시켜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