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가운데 4명은 자신의 전공과 관계없는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최종학력이 대졸 이상인 직장인 2515명에게 현재 업무와 전공과의 관계를 물은 결과, 전체 응답자 중 36.1%가 ‘관계없다’라고 대답했다.
전공과 무관한 일을 하고 있는 이들은 ‘인문계열’이 55.2%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교육계열’(47.1%), ‘예체능계열’(44.8%), ‘사회계열’(43.4%), ‘자연계열’(37.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과 관계없는 업무를 하고 있는 이유로는 ‘전공 관련 채용이 너무 없다’는 응답이 35%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외에 ‘전공이 적성과 맞지 않아서’(24.5%), ‘연봉 등 다른 조건이 더 중요해서’(19.7%), ‘심도 있는 전공지식을 갖추지 못해서’(17.9%), ‘전공과 직무는 별개라고 생각해서’(14.8%) 등으로 집계됐다.
또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37.9%로 가장 많았고 30대(35.7%), 40대(34.7%), 50대 이상(28.5%)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전공과 관계있는 직장에 취직한 직장인(1608명)의 경우, ‘전공지식으로 실제 업무에 도움을 받고 있다’는 응답이 72.5%을 차지했다.
사람인의 한 관계자는 “적성보다는 점수에 맞춰 대학에 진학하는 세태와 심각한 취업난이 맞물려 전공을 포기하고 취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라며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취업할 경우 직장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만큼 충분히 고민을 한 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최종학력이 대졸 이상인 직장인 2515명에게 현재 업무와 전공과의 관계를 물은 결과, 전체 응답자 중 36.1%가 ‘관계없다’라고 대답했다.
전공과 무관한 일을 하고 있는 이들은 ‘인문계열’이 55.2%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교육계열’(47.1%), ‘예체능계열’(44.8%), ‘사회계열’(43.4%), ‘자연계열’(37.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과 관계없는 업무를 하고 있는 이유로는 ‘전공 관련 채용이 너무 없다’는 응답이 35%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외에 ‘전공이 적성과 맞지 않아서’(24.5%), ‘연봉 등 다른 조건이 더 중요해서’(19.7%), ‘심도 있는 전공지식을 갖추지 못해서’(17.9%), ‘전공과 직무는 별개라고 생각해서’(14.8%) 등으로 집계됐다.
또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37.9%로 가장 많았고 30대(35.7%), 40대(34.7%), 50대 이상(28.5%)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전공과 관계있는 직장에 취직한 직장인(1608명)의 경우, ‘전공지식으로 실제 업무에 도움을 받고 있다’는 응답이 72.5%을 차지했다.
사람인의 한 관계자는 “적성보다는 점수에 맞춰 대학에 진학하는 세태와 심각한 취업난이 맞물려 전공을 포기하고 취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라며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취업할 경우 직장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만큼 충분히 고민을 한 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