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타이어 교체·적정 공기압 유지·우천시 서행 당부

장마철 종종 나타나는 포트홀을 운전해 지나갈 때 주행속도나 타이어 상태에 따라 사고 위험성이 커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통안전공단은 최근 포트홀에 대한 사고 위험성을 시험한 결과를 발표했다. 참고로 포트홀이란 도로포장 훼손으로 생긴 움푹 파인 구멍 또는 갈라진 틈을 말한다. 이는 장마철 비가 온 후에 종종 발생해, 차량 안전운행에 큰 위험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서울시의 경우 포트홀이 연간 5만건 이상 생기고 있고, 이로 인해 연간 330여건의 교통사고가 난 것으로 집계됐다. 공단이 사고 위험성을 시험한 결과 차량이 파인 도로를 지나가는 순간 타이어의 옆면이 부풀거나 찢어지는 등 타이어 및 휠의 파손, 변형 현상을 보였다. 이런 현상은 공기압 손실로까지 이어져 차량이 전복될 위험까지 있었다.
또 오래된 타이어의 경우 트레드(타이어가 노면에 닿는 면)의 홈 깊이가 낮아져, 빗길에서 제동 시 수막현상으로 인해 제동거리가 새 타이어보다 최대 50% 이상 길어지게 된다. 이는 추돌사고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이 같은 사고를 예방하려면 운행 전 타이어 상태를 점검해 공기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노후 타이어는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며 “우천 시에는 시정거리가 짧아 운전자가 제동장치를 제때 작동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서행 운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서는 “특히 포트홀을 통과할 때 타이어에 손상이 발생했다면 이는 심각한 교통사고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교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