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일·학습 병행제’에 대한 중견·대기업의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서 일·학습 병행제는 구직자를 학습근로자로 채용해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훈련시키는 제도다.
이 제도를 통해 구직자들은 기업현장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난 2일 고용부에 따르면 일·학습 병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모두 1069곳뿐이었다. 이 가운데 상시 근로자가 ‘300인 미만인 기업’은 1001곳(94%)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이어 ‘300인 이상 1000명 미만 기업’ 58곳(6%), ‘1000명 이상인 기업’ 10곳(1%)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애초 고용부가 내놓은 선정기준과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고용부는 앞서 현장훈련과 이론·실무교육을 함께 배울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진 기업을 일·학습 병행제의 참여기업으로 선정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고용부는 참여기업 선정 심의위원회를 구성한 뒤 인력양성목표의 적정성, CEO 의지, 기업여건의 적정성 등을 검토해 해당 기업을 선정했었다.
하지만 선정된 참여기업 중 94%가 중소기업으로 확인되면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참여기업 대부분 업종이 ‘제조·건설업’인 것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전체 참여기업 중 기계 512개사, 전기전자 119개사, 화학 48개사, 재료 33개사, 건설 20개사 등 732개사(68%)가 제조·건설업 분야로 나타난 것이다.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참여기업들의 교육훈련이 제대로 이뤄지도록 현장의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 할 것”이라며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