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수요에 맞춘 탄력적 대응으로 불편 최소화

정부가 수도권 직행좌석버스 입석 금지에 따른 시민불편을 덜기 위해 21일부터 광역철도 운행을 확대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8일부터 출퇴근 시간에 맞춰 경인선급행열차 4회, 경원선 4회, 경의선 4회, 분당선 2회 등 총 14회를 증편한다고 밝혔다. 경부선도 주간열차 운행을 확대해 1일 4회 증편키로 했다.
또 지난 17일부터는 해당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혼잡도가 높아 대기자가 많은 버스 5개 노선에 전세버스 8대를 추가 투입하고, 광주터미널과 수원터미널에는 출근형 급행버스의 운행을 15회 증가시켰다.
이밖에 국토부는 광역철도 이용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인접 전철역까지 운행하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출퇴근 시간에 집중 배차하고, 필요할 경우 일부 노선은 조정할 예정이다.
특히 출발시점부터 만차되어 중간정류장에서 무정차 통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입석이 없는 노선의 차량을 입석 노선에 투입하고, 동일 노선에서도 수요가 많은 중간정류소는 바로 출발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반면 출근 시간대에 수요가 적은 하행선에 대해서는 공차를 회송해 버스 회전율을 높여 배차간격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조치는 정부의 입석대책 시행 이후 광역철도 이용객이 평소보다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입석대책 시행 전 광역철도 이용객은 지난 9일 기준으로 203만 명이었지만, 입석대책이 시행된 후 206만6000여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모니터링단을 구성해 대책시행의 효과를 출퇴근별로 1일 2회 모니터링 해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며 “국토부·지자체·운수업계·교통전문가 등과 합동 점검회의를 주 1회 개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