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5일까지 비상근무체계 가동

산림청은 올 여름 기상이변으로 예상되는 국지성 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사태 대응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1년 서울 우면산, 춘천 마적산 산사태 등으로 43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이후 산림청은 △산림보호법 개정 △산사태정보시스템 고도화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등 산사태 대응체계를 강화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산림청은 올해도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산림청은 우선 산사태방지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예방시설을 설치했다. 또 주민비상연락망과 대피체계를 구축해 유사시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산림청은 산사태현장예방단 등 가용인력을 활용한 현지점검과 응급조치 및 보강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외부전문가와 합동으로 점검반을 구성해 민관합동 일제점검(4~5월)과 두 차례(6~7월)에 걸친 실제상황을 가정한 전국단위의 대피훈련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산사태 예방과 대응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 개선했다.
또 지난해 발생한 산사태 피해지 312㏊에 대한 복구를 지난 6월 말 완료했고,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예방시설 설치 등 올해 사방사업을 장마 전에 집중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에 대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5월 15일부터 운영중인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통해 여름철 재해대책기간이 끝나는 10월 15일까지 기상상황에 따라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가동하는 등 산사태 대응 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이외도 산림청은 국토교통부, 소방방재청, 한국도로공사 등 부처별 소관을 이유로 일체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던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 주요 도로변 산사태에 대해 공동으로 대처하기로 했다.
산림청의 한 관계자는 “여름에도 태풍과 대기불안정에 의한 국지성호우가 빈발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현장중심의 철저한 산사태 예방활동을 적극 전개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