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율 개선으로 실적 개선될 것으로 전망
잇따른 대형사고의 영향으로 관련 손해보험사들의 실적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의 올 상반기(1~6월) 당기순이익은 5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4% 급감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5.7% 증가했음에도 세월호 참사 등의 여파로 인해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LIG손해보험의 수익성도 악화됐다. 이는 L동제련 공장 폭발사고 등에 따라 막대한 보험금을 지급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LIG손보의 올 상반기 순이익은 지난해보다 2.5% 감소한 1003억원을 기록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1%포인트가량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손해율이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대형사고에 따른 손실이 상반기 실적에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대형사고에 연루되지 않은 손해보험사의 경우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안정됨에 따라 실적이 오히려 호전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중 하나로 삼성화재는 올 상반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3% 급증한 480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삼성화재의 경우 세월호 선체보험에 대한 재보험을 수재했지만 그 규모는 3000만원가량으로 미미했다. 여기에 영업용·업무용 자동차보험료가 오르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1.1%포인트 줄어 수익성이 개선된 것이다.
이와 함께 한화손해보험은 지난해 상반기의 74억원 적자에서 벗어나 181억원의 순이익을 올리며 오히려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한화손보도 올 상반기 연루된 대형사고가 없었던 덕분에 일반보험과 자동차보험의 손해율이 각각 4.2%포인트, 2%포인트 줄었다.
동부화재도 올 상반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당기순이익이 4.8% 증가했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업계의 손해율이 좋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형사고에 연루된 보험사들의 실적이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