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적인 안전대책 마련돼야

4대강 자전거길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희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최근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4대강 자전거길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 점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공단이 지난 2012년(한강)과 지난해(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걸쳐 4대강 자전거길의 도로안전관리시설과 교통안전시설을 대상으로 점검을 실시한 결과가 담겨 있다.
이에 따르면 한강 자전거도로 253건, 낙동강 종주자전거길 193건, 영산강 종주자전거길 93건, 금강 종주자전거길 79건 등 4대강 자전거길에서 모두 465건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이 지적·적발됐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한강 자전거도로의 경우 ‘팔당대교~충주댐 구간’(135.7km)의 109개 지점과 구간에서 △자전거도로 바로 옆에 도로표지 지주 설치로 사고 우려 △배수불량으로 강우 시 위험 △차도와의 신호 불명확 △자전거 도로폭 1m 미만으로 설계기준 미흡 △위험구간에 방호 울타리 미설치 △급한 내리막길 안내 및 안전시설 미설치 등 총 253건의 문제점이 발견됐다.
또 낙동강 종주자전거길에서는 △자동차와 자전거도로가 교차하는 구간과 관련한 시설 또는 정보 부족 △안내표지 및 노면표시 부족 △자전거도로 노측 위험구간 방호울타리 미설치 등 193건이 지적됐다.
이와 함께 영산강 종주자전거길 ‘영산강하구둑~담양댐 구간’(133km)의 67개 지점 및 구간에서는 총 93건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이 적발됐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와 자전거도로 교차구간 정보 부족 △자동차 진입 금지를 위해 설치된 볼라드 설치 부적절 △자전거길 노측 위험구간 방호울타리 미설치 등이다.
마지막으로 금강 종주자전거길에서는 ‘금강하구둑~대청댐 구간’(146km)의 74개 지점 및 구간에 △자전거횡단도 전방 정지선 미설치 △안내표지 부족으로 자전거 이용자 혼란 우려 △자전거길 노측 위험구간 방호울타리 미설치 등 총 79건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이 지적됐다.
김 의원은 “4대강 자전거길의 안전점검 결과 수많은 문제점이 발견됐다”라며 “국토교통부는 자전거길 이용자들의 안전에 문제가 없도록 문제점을 즉시 조치하는 것은 물론 종합적인 자전거길 안전대책을 마련·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