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배전선로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전기 배전원들의 감전사고 건수 가운데 일부가 축소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정희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송·배전공사 과정에서는 140명(사망 13명, 부상 127명)의 재해자가 발생했다.
하지만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는 이보다 많은 177명(사망 18명, 부상 159명)이 재해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의원은 한전이 제출한 감전사고 현황은 산업재해로 분류된 감전사고이고, 전기안전공사가 제출한 감전사고 현황은 전국의 화상치료 종합병원을 돌며 전수조사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즉, 감전사고의 일부가 공상처리되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전정희 의원은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이유로 일부 전기공사 시공업체들의 안전불감증을 꼽았다.
사실 한전에서는 배전공사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공사업체들에게 시공중지(5~10일), 벌금(300~500만원), 입찰 시 감점 등의 강한 제재를 가하고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일부 시공업체들이 공상처리를 하고 있다는 것이 전 의원의 주장이다.
전정희 의원은 “협력업체들이 입찰시 불이익을 당하지 않기 위해 감전사고를 산재처리하지 않고 공상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한전은 정비·시설유지 보수작업 등이 이뤄질 때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협력업체에 무리한 작업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정희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송·배전공사 과정에서는 140명(사망 13명, 부상 127명)의 재해자가 발생했다.
하지만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는 이보다 많은 177명(사망 18명, 부상 159명)이 재해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의원은 한전이 제출한 감전사고 현황은 산업재해로 분류된 감전사고이고, 전기안전공사가 제출한 감전사고 현황은 전국의 화상치료 종합병원을 돌며 전수조사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즉, 감전사고의 일부가 공상처리되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전정희 의원은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이유로 일부 전기공사 시공업체들의 안전불감증을 꼽았다.
사실 한전에서는 배전공사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공사업체들에게 시공중지(5~10일), 벌금(300~500만원), 입찰 시 감점 등의 강한 제재를 가하고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일부 시공업체들이 공상처리를 하고 있다는 것이 전 의원의 주장이다.
전정희 의원은 “협력업체들이 입찰시 불이익을 당하지 않기 위해 감전사고를 산재처리하지 않고 공상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한전은 정비·시설유지 보수작업 등이 이뤄질 때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협력업체에 무리한 작업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